청소년시설
- 복사
-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 접속 할 수있습니다.
청소년 문화의 집 소개
여주청소년문화의 집은 청소년들에게 문화의 공간을 제공하고 스스로의 권리와 재능을 마음껏 펼치게 함으로써 청소년들의 능동적인 삶의 질을 도모하고자 여주시에서 설립하였습니다.
청소년 문화의 집 이용안내
층별 면적 및 용도
층별 | 면적 | 용도 | |
---|---|---|---|
㎡ | 평 | ||
지하1층 | 40 | 12 | 창고, 계단실 |
지상1층 | 240 | 72.6 | 휴카페, 사무실, 남자화장실 |
지상2층 | 228 | 68.9 | 영화감상실, 다용도활동실, 여자화장실, 탁구실 |
지상3층 | 228 | 68.9 | 음악활동실, 동아리실, 노래방 |
지상4층 | 40 | 12.1 | 창고, 계단실 |
이용안내
- 대상 청소년(만9~24세), 청소년을 포함한 가족
-
이용시간
화 ~ 일 9:00 ~ 18:00
안내 사전 예약 시 평일(화-금) 20:00까지 이용가능
- 휴관일 법정 공휴일(일요일 제외) 및 월요일
- 카카오 채널 여주청소년문화의집
- 사전 예약 방법 경기공유서비스 (열린공간 - 대관신청) 18:00 이후 예약은 이용 전날까지 필히 유선 연락
문의전화
031-886-0545~6
팩스번호
0502-886-8899
이메일
yj6544@gmail.com
주소
경기도 여주시 신륵사길 6-8, 여주청소년문화의집
청소년문화의집 프로그램
- 청소년동아리 댄스, 자원봉사, 진로, 멘티멘토, 바리스타 등
- 청소년참여기구 여주시청소년참여위원회, 여주청소년문화의집 청소년운영위원회
- 청소년자원봉사활동
- 공공청소년수련시설 프로그램 운영
- 학교연계 프로그램 운영
사업개요
청소년복지지원법 제29조 의거 지역 청소년들의 각종 고민을 상담하고 그들의 건강한 성장 및 복지증진을 도모하기 위해 1999년 7월 개소, 2013년 통합지원서비스 제공을 위한 CYS-Net을 구축하여 청소년 관련기관 간 유기적인 협조체제의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
운영현황
- 운영방법 여주시 직영
- 근무인력 청소년상담사 10명
주요사업
- 청소년전화 1388 운영 (24시간)
- 청소년과 부모에 대한 상담·교육
- CYS-Net 운영 (운영위원회/ 실행위원회)
- 학교폭력예방 및 근절 사업
- 아웃리치, 의료지원, 자활지원
- 위기청소년 발견·보호 및 지원을 위한 활동지원
- 솔리언또래상담자 양성, 초·중학생 집단프로그램 운영
- 생명존중교육
- 인터넷과사용해소 사업
- 과사용 및 위험군 개인상담, 집단상담 학교지원
- 청소년동반자프로그램 운영
- 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 운영
- 검정고시반 운영, 직업체험 및 자활지원
이용안내
- 대상 아동, 청소년, 학부모, 청소년지도자
- 내용 개인상담, 전화상담, 집단상담 및 교육, 상담프로그램 참가신청
개인상담심리검사
-
전화예약 882-8889
-
상담시간 협의 및 대기
-
상담복지센터 내방
전화상담
전화상담
국번없이 1388, 휴대폰 031-1388, 882-8889
사이버상담
집단상담교육
-
홈페이지 안내문을 통해 수시 게재
-
전화 및 온라인 신청
청소년 공부방
시설명 | 가남청소년공부방 |
---|---|
위치 | 가남읍 태평리 태평중앙1길 20 |
면적 | 100평 |
열람좌석 | 120석 |
운영주체 | 가남읍 |
운영일시 | 매주 월 ~ 토요일 (매 09:00 ~ 20:30) |
개설일자 | 1993. 11. |
연락처 | 031-883-2921 |
사업개요
학교 밖 청소년 지원에 관한 법률 제12조에 의거, 학교 밖 청소년들의 학업복귀와 성공적인 사회진입을 돕기 위해 2015년 신설되어 여주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에서 운영함.
주요사업
- 꿈드림은 ‘꿈’(DREAM)과 ‘드림’(드리다)의 합성어로 청소년들에게 꿈과 희망을 드린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학교라는 울타리를 벗어나 학업을 중단한 청소년들이 자신감을 회복하고 꿈을 키울 수 있도록 돕는 청소년들의 공간입니다.
- 상담지원
- 청소년전화 1388 : 초기상담 및 욕구 파악
- 교육지원
- 재취학·재입학 등의 복교지원, 상급학교 진학 지원, 검정고시 지원
- 직업체험 및 취업지원
- 진로교육활동, 직업체험, 경제활동 참여 등
- 자립지원
- 생활 지원, 문화활동 지원, 의료지원 등
- 기타서비스
- 건강증진 서비스, 지역특성화 프로그램
누가 참여할 수 있나요?
- 3개월 이상 결석하거나 취학의무를 유예한 청소년
- 제적,퇴학 처분을 받거나 자퇴한 청소년
- 상급학교에 진학하지 않은 청소년 (학업중단숙려대상 등 잠재적 학교밖 청소년 포함)
이용안내
청소년 전화 1388 (전화 문의 후 참여)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가족복지과
- 연락처 031-887-2586
- 최종수정일 2024.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