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윤효전
  • 복사
  • 해당 서브 사이트명 qr코드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 접속 할 수있습니다.

조선 광해군대의 문신으로 본관은 남원(南原), 자는 영초(詠初), 호는 기천(沂川)이고, 초명(初名)은 효선(孝先)이며 윤희손(尹喜孫)의 아들이다. 초명인 효선을 효전으로 고친 것은 계축옥사(癸丑獄事) 당시 이른바 ‘여강칠우(驪江七友)’와 어울렸다가 화를 입은 유효선(柳孝先)과 이름이 같았기 때문이다.

1605년(선조 38) 현감으로 있으면서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613년(광해군 5) 계축옥사에 참여한 공으로 익사공신 2등에 책록되어 1615년 대원군(帶原君)의 칭호를 받았다. 벼슬은 대사헌·지의금부사·충청도관찰사를 지냈고 1617년 경주부윤이 되었으며 이때 백호(白湖) 윤휴(尹鑴)를 낳았다. 윤효전과 충무공(忠武公) 이순신(李舜臣)의 서녀(庶女)와의 사이에 윤영(尹鍈)이 태어났는데 윤영은 이원익의 서녀와 결혼하였다. 원래 묘가 금사면에 있었으나 근래에 대전으로 이장하였다.

『광해군일기』 6년(1614) 7월 7일 신묘 기사에 윤효전이 상소한 내용이 나오는데 “신은 금년 초봄에 여주 고향 집에 돌아가 있다가 갑자기 임금이 돌아가셨다는 슬픈 소식을 듣고 달려서 조정으로 돌아왔습니다”라고 하였다.

 

□ 참고문헌 : 『광해군일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문화예술과
  • 담당자 조원기
  • 연락처 031-887-3582
  • 최종수정일 2023.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