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뇌곡리
  • 복사
  • 해당 서브 사이트명 qr코드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 접속 할 수있습니다.

본래 여주군 점량면의 지역으로 지형이 우리처럼 생겼으므로 우리실, 우레실, 또는 뇌곡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세거리를 병합하여 뇌곡리(雷谷里)라 해서 점동면에 편입시켰다. 뇌곡리는 우레실, 세거리 두 마을로 이루어져 있으며, 세거리 앞에는 넓은 황새들이 펼쳐져 있다.

  • 우레실 : 이곳이 일체의 천재지변이 없는 안전한 지역으로 우레(낙뇌)마저 치는 일이 없다 하여 우레실이라 하였다 한다. 그러나 산중에 우레가 오히려 심하고 어느 때 낙뇌에 의하여 초가에 불이나 마을 전체가 소실되어 한동안 사람이 살지 않았다는 주장도 있는바 낙뇌를 맞았던 계곡마을을 뜻하는 우뢰실이라는 지명을 얻게 되었다는 설도 있다. 지금 우뢰실은 오갑산 중턱의 작은 마을이지만 고려시대에는 행정관청이 있었다 하여 그 흔적으로 옥터, 방울장터 등의 지명이 아직도 전래되고 있다. 이곳을 고려시대에는 여흥골이라 하였는바, 여주를 여흥이라고 일컫는 것은 이곳 지명에서 연유되었다고 주장하였다. 이곳이 여흥 이씨(李氏)의 집성촌이라는 사람도 있다.
  • 아랫세거리 : 세거리는 야산 기슭에 위치하는데 점점 아래쪽 도로변으로 마을이 확장되면서 큰 마을이 형성되어 아랫세거리라 불렸다 한다. 예전에는 이곳에 고목인 팽나무와 향나무가 있었고 서낭이 있었던 곳이다.
  • 양달말, 음달말 : 세거리 마을에서도 양지바른 곳에 위치한 곳은 양달말이라 하고, 지형상 음달진 곳이 있어 음달말이라 부른다
  • 아랫땀 : 산중턱에 자리 잡은 우레실과 근접한 마을로 우레실 아래에 위치한 마을이다.
  • 방울장터 : 예전 고려시대에 장터가 있었다는 곳이다.
  • 옥터 : 고려시대 감옥이 있었던 곳이다.
  • 두둠이산 : 우레실 남서쪽에 있는 야산으로 뇌곡리와 관한리의 경계를 이루는 산이며 지명의 유래는 알 수 없으나 산의 형상에서 두둠이라는 이름이 붙여진 것 같다.
  • 세거리 : 인접된 덕평리, 성신리, 관한리의 3개 부락 사람들이 그들 중 어느 부락을 가려 해도 세거리를 거치지 않고 당도할 수 없으므로 그 삼거리에 위치한 부락이어서 세거리(三去里)라 불렀다 한다.
  • 은행나무 약수터 : 우레실에서 오갑산중으로 오르면 바위에서 샘이나와 예전부터 약수라 하였고 이곳을 약수터라 칭한다. 이곳에 고려시대 관청터가 남아있으며 수백년 된 은행나무가 있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문화예술과
  • 담당자 조원기
  • 연락처 031-887-3582
  • 최종수정일 2023.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