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현대식 상례
  • 복사
  • 해당 서브 사이트명 qr코드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 접속 할 수있습니다.

현대식 상례는 임종-수시-발상-부고-염습-입관-성복-발인-운구-하관-성분-위령제-삼우-탈상 등의 순서로 진행된다. 임종이란 가족이나 가까운 혈족이 운명할 때 곁에서 지켜보는 것을 말한다. 임종이 다가오면 깨끗한 옷으로 갈아입히고 유언이 있으면 침착한 마음으로 기록하거나 녹음해둔다. 돌아가시면 먼저 눈을 쓸어내리고 몸을 반듯하게 한 다음 손과 발을 가지런히 한다. 머리를 약간 높게 괴고, 깨끗한 솜으로 코와 귀를 막는다. 얼굴에 백포를 씌우고 홑이불을 머리까지 덮은 뒤 병풍이나 장막으로 가린다. 이를 수시라 한다. 수시가 끝나면 가족은 곧 검소한 옷으로 갈아입고 근신·애도한다. 흔히 ‘근조(謹弔)’라고 쓴 등을 달아놓거나, ‘상중(喪中)’이라고 쓴 네모난 종이를 대문에 붙여 초상을 알린다.

상제는 고인의 배우자와 직계 자손이 되고 맏아들이나 맏손자는 주상이 된다. 복상의 범위는 고인의 8촌 이내 친족까지로 한다. 여기까지를 발상이라 하고 상을 치를 준비를 한다. 먼저 설전이라 하여 돌아가신 분을 살아계실 때와 똑같이 모신다는 뜻에서 포와 젓갈을 올려놓은 탁자를 시신의 동쪽 어깨가 닿는 곳에 놓는다. 그리고 고인의 사진을 검정색 틀에 끼우고 검정색 리본을 달아 영정을 만들어 시신을 가린 병풍 앞 제상 위에 모셨다가 운구할 때 앞에서 모시고 간다. 염습·입관·매장신고 등 장례에 관한 일들을 대행해주는 장의사를 선정하고 미리 장일이나 장지를 선택하여 부고시 안내해준다.

이러한 일련의 절차는 주상을 대신하여 가까운 친지나 친구가 호상이 되어 장례에 대한 모든 절차를 주관하고, 부고와 장례에 관한 안내·연락·조객록·사망신고·매장(화장) 허가신청 등을 맡아서 처리한다. 운명한 지 만 하루가 지나면 시신을 깨끗이 닦고 수의를 입힌다. 이를 염습이라고 한다. 염습할 때 남자는 남자가, 여자는 여자가 한다. 염습이 끝나면 곧 입관한다. 이때 시신과 관 사이의 공간을 깨끗한 벽지나 마포 등으로 꼭 채워 시신이 관 안에서 흔들리지 않도록 한다. 시신을 고정시키고 홑이불로 덮고 관뚜껑을 닫는다.

입관이 끝나면 영좌를 마련한 뒤 정식으로 상복을 입는다. 이것을 성복이라 한다. 요즘은 남자는 검은 양복을 입고, 여자는 흰색 치마 저고리나 검은색 양장을 입고 왼쪽 가슴에 상장을 단다. 상장은 흰색천 두겹을 리본 모양으로 만든 것으로 탈상까지 단다. 영좌는 고인의 영혼을 모시는 곳으로, 병풍 앞에 깨끗한 백지를 깐 상을 놓고 그 정면에 고인의 영정을 모신 뒤 양쪽에 촛불을 밝히고, 향로에는 향을 피운다.

영구가 집을 떠나는 절차를 발인이라 하는데 발인에 앞서 간단한 제물을 차려놓고 발인제를 지낸다. 발인제가 끝나면 영구를 장지나 화장지까지 차량이나 상여로 운반하는 운구가 진행된다. 장의차를 이용할 때는 영정·명정·상제·조객의 순으로 오르고, 상여를 이용할 때는 영정·명정·영구·상제·조객의 순으로 간다. 장지에 도착하면 장의차나 상여에서 관을 내려 수평이 되게 하고 좌향에 맞춘 다음 광중에 반듯하게 내려놓고, 그 위에 명정을 덮는다. 상주는 ‘취토(取土)’를 세 번 외치면서 흙을 관 위에 세 번 뿌린다. 이 과정을 하관이라 한다. 상주의 취토가 끝나면 석회와 흙을 섞어서 관을 완전히 덮고 평토를 한 다음 흙을 둥글게 쌓아올려 봉분을 만들고 잔디를 입히는데 이를 성분이라 한다. 성분이 끝나면 묘소 앞으로 영좌를 옮기고 간소하게 제수를 차린 뒤 고인의 명복을 비는 위령제를 지낸다.

장례 후 3일째 되는 날에 첫 성묘를 하고 봉분이 잘 되었는지 살피고 간단한 제사를 올리는 삼우를 행한다. 요즘은 초우와 재우는 생략한다. 위의 절차가 끝나 복을 벗는 절차를 탈상이라 한다. 탈상은 조부모·부모·배우자의 경우 별세한 날로부터 100일까지이고, 그 밖의 경우는 장례일까지이다. 장례 후에는 장례를 치르는 동안 애써주신 사람들에게 감사의 인사를 드리고 문상을 다녀간 조객들에게는 인사장을 보내는 것이 예의이다. 집안을 정리하고 장례에 사용했던 물품들과 고인의 유품을 정리하고 영정을 잘 보관하여 제사 때 사용한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문화예술과
  • 담당자 조원기
  • 연락처 031-887-3582
  • 최종수정일 2023.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