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서원철폐와 대로사의 변화
  • 복사
  • 해당 서브 사이트명 qr코드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 접속 할 수있습니다.

대원군의 왕권강화정책의 하나로 단행된 것이 서원철폐다. 서원은 조선중기부터 보급되기 시작한 민간 사학기관이다. 중국에서 당나라 현종 때 생긴 것이 우리나라에 도입되어 내외 명현을 제사 지내고 청소년을 모아 인재를 양성하는 사설기관이었다. 원래 고려에는 사원(寺院)이 있었고, 조선에 들어와 사원을 대신하여 서제, 서당, 정사, 선현사, 향현사 등으로 교육을 진흥시켰다. 세종 때 이르러 이를 장려하여 상을 내리는 일이 있었으나 이 당시에는 서원이란 제와 사의 두 가지 기능을 겸한 것이 못 되었는데, 1542년(중종 37) 풍기군수로 있던 주세붕이 고려의 학자 안향을 모시고 백운동서원이라 명칭한 것이 우리나라 서원의 시초가 되었다.

 

그 후 전국 각지에 많은 서원이 생겼으며, 1550년(명종 5) 이퇴계의 건의로 임금이 백운동서원에 소수서원이라고 액(현판)을 내리고, 책과 노비, 전결을 하사하여 장려했다. 이것이 사액서원의 시초가 되었으며, 이후 서원을 대신하여 국가의 보조를 받는 서원이 각지에 설치되었다. 명종 이전에는 29개, 선조 때 124개, 숙종 때 이르러 l개 도에 80~90개의 서원이 생겼다.

서원이 양적으로만 증가한 것이 아니라 일종의 특권층에 들게 되어 서원에 딸린 토지에 대해서는 조세를 감면하는 특혜를 주고, 양민이 서원의 노비가 되어 군역을 피하는 폐단도 생겼다. 또 유생들은 서원에 나가 학문을 연구하는 대신 붕당(朋黨)에 가담하여 당쟁에 골몰하고, 서원을 근거로 양민을 토색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박제형의 『근세조선정감』에 서원의 폐단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서술하고 있다.

 

“(전략) 화양동 서원과 만동묘가 더욱 번성하며 나라 안에 편만(遍滿)하여 고을마다 서원하나씩은 거의 있다. 그 외의 서원도 또한 수효를 헤아릴 수가 없으며 선비들이 깃드는 숲으로 되었다. 당초에는 다만 도의(道義)를 강론하다가 점차 조정 정사를 평론하게 되었다. 한 사람이 먼저 외치면 여러 사람이 소리를 같이하여 격문을 나라 안에 전하여 수십 일 동안이면 다 둘러지는데 명칭을 유통(儒通)이라 한다. (중략) 사족이 있는 곳마다 평민을 못살게 하지만 그 가장 심한 것은 서원에 모여 있다. 간통(簡通) 하나를 띄워 먹도장을 찍은 다음 고을에 보내서 서원 제수전(祭需錢)을 바치도록 명령한다. 사족이나 평민은 물론하고 그 간통을 받으면 반드시 주머니를 쏟아야 한다. 그러지 않는 자는 서원에 잡아다가 혹독한 형벌로 위협하는데 화양동 서원 같은 곳은 그 권위가 더구나 강대하여 그것의 간통을 화양동 묵패지(墨牌旨)라 하였다. 백성들이 이미 탐학한 아전에게 시달리는데 다시 서원 유생들에게 침략(侵掠)당해서는 모두 살아갈 수가 없어 원망을 쌓고 이를 갈아도 하늘만 쳐다볼 뿐이었다.”


이러한 서원의 폐단을 근절하기 위해 대원군은 서원을 철폐하기로 마음 먹었다. 왕실 권위와 중앙집권화를 위해서뿐 아니라 백성들 위에 군림하여 그들의 고혈을 빨아먹는 양반들을 억누르고 백성들의 숨통을 틔워주기 위해서 서원철폐는 필요한 일이었다.


대원군은 1864년(고종 1), 영을 내려 서원에 대한 모든 특권을 철폐하고, 1865년에는 서원 중에 대표적인 서원이 되는 만동묘를 시범으로 폐쇄시켰으며, 1871년(고종 8)에는 적극적인 폐쇄정책으로 세상에 사표가 될 만한 서원 47개만 남기고 모두 폐쇄시켜 버렸다.1)

세도정치가 시작된 이후 조선왕조에서 왕권은 신권(臣權)에 눌려 거의 유명무실한 상태에 놓여 있었다. 이렇게 미약해진 전제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지방에 산재하면서 양반 귀족들의 경제적 기반 역할을 하고 있던 서원을 철폐하였던 것이다.

 

이때 남은 47개 중의 하나가 여주의 대로사(大老祀)이다. 대로사는 1785년(정조 9), 왕명에 의해 송시열을 제향하기 위해 여주의 남한강변에 세운 사우(祀宇)이다. 그 해에 사액되었는데 이때 송시열에 대한 존칭인 대로(大老)의 명칭을 붙여 ‘대로사’라고 하였다. 송시열은 여주에 머물 때마다 이곳에서 영릉(寧陵 : 효종의 능)을 바라보고 통곡하며 또 후진들에게 북벌의 대의를 주장하였다 한다. 후일 정조가 영릉에 행차하였다가 이 말을 전해 듣고 수행한 김양행(金亮行)에게 이 사우를 세우게 하였으며, 또 친히 비문을 지었다. 여기에는 남인을 등용함으로써 노론과의 관계가 원만하지 못하던 정조가 노론이 받드는 송시열을 높이고, 그의 문집을 왕명으로 간행하게 하는 등 특별히 배려함으로써 노론의 불만을 달래려고 한 정치적 의도가 담겨 있었다. 출입문인 장인문이 서쪽으로 나 있으며, 사묘 또한 서쪽을 향하고 있는데, 이는 사우로부터 서쪽 방향에 있는 효종의 영릉을 바라보기 위한 것이라고 전해진다.2)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문화예술과
  • 담당자 조원기
  • 연락처 031-887-3582
  • 최종수정일 2023.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