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불상 및 불화
  • 복사
  • 해당 서브 사이트명 qr코드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 접속 할 수있습니다.

신륵사(神勒寺)는 고려 말에 나옹선사가 이곳에서 입적한 후, 그 제자들에 의해 석종이 조성 될 때에 대대적인 중창불사(重創佛事)가 있었고, 조선 초에 세종의 능인 영릉(英陵)의 원찰(願刹)이 됨으로써 또다시 크게 중수되었다. 임란과 호란으로 피폐된 사찰을 17세기 후반 이후 지속적으로 중수·중창하였는데, 1671년(현종 12)에 김수항·민정중·정치화가 중심이 된 중창불사와 1702년(숙종 28)에 위학(偉學), 천심(天心), 우안(宇眼) 스님 등이 주도한 중수불사가 대표적이며, 19세기에도 부분적인 불사가 있었다. 당시에 조성 봉안된 제 상들과 탱화가 현재까지도 극락보전과 명부전·조사당·적묵당에 남아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문화예술과
  • 담당자 조원기
  • 연락처 031-887-3582
  • 최종수정일 2023.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