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강의 비상 여주시 여주시사

시간으로 보는 여주시사

  • 이전
  • 음력1월
  • 음력2월
  • 음력3월
  • 음력4월
  • 음력5월
  • 음력6월
  • 음력7월
  • 음력8월
  • 음력9월
  • 음력10월
  • 음력11월
  • 음력12월
  • 윤달
  • 다음
음력 7월

7월의 세시풍속

  • 칠성맞이

    음력 7월 7일을 칠석(七夕)이라 한다. 하늘에 있는 견우(牽牛)와 직녀(織女)가 은하수를 사이에 두고 서로 사랑하다가 1년에 한 번 칠월 칠석에 까치와 까마귀가 놓아준 오작교(烏鵲橋)를 통해 만난다고 하는 전설이 있는 날이다.이날은 또한 칠성(七星)이 내려오는 날로, 칠성단을 모셔놓고 제물을 차린 뒤 자손들의 명과 복을 비는 칠성제(七星祭)를 지낸다.
  • 백중

    음력 7월 15일을 백중일(百中日), 백종일(百種日), 중원일(中元日), 망혼일(亡魂日)이라고 한다.불가에서는 이날 재를 올리며 불공을 드리는 큰 명절로 삼았으며, ‘호미씻이날’이라고도 한다. 이때가 되면 농사일도 거의 끝나 더 이상 호미가 필요 없으니 호미를 씻어 걸어둔다는 의미이다. 이와 함께 그간 농사일 하느라 고생한 머슴들에게 돈을 주어 이날 하루는 마음껏 놀게 한다. 백중날 머슴들은 주인에게서 백중 돈과 옷을 얻어 거리에 나가 논다. 대개 장에는 백중장이 벌어져 씨름과 윷놀이를 하며 하루 종일 먹고 마시며 논다. 그래서 이날을 ‘머슴날’이라고도 한다.
  • 칠석

    칠석에는 절에 가서 가족의 건강과 안녕을 위해 불공을 드린다. 이날 특별히 해먹는 음식은 없지만, 산북면 용담리에서는 호박·부추·풋고추를 넣고 밀전병을 해먹기도 한다.
  • 삼복

    여름음식의 대표적인 것으로 개고기를 들 수 있다. 복날을 위해 집집마다 개를 키우며, 그때가 되면 동네사람들은 삼삼오오 짝을 이루어 개를 잡거나 가족끼리 먹는다. 요즈음도 복날이면 개를 잡는 집이 많으며, 이 날이 되면 도시에 나간 자식들을 불러 함께 먹기도 한다.
  • 7월의 농사력

    칠월은 초가을로서 입추와 처서의 절기이다. 이 시기에는 논에서는 벼이삭이 피기 시작하고, 밭에는 콩·고추 등이 무성할 때이다. 이 시기는 힘든 농사일이 거의 끝나는 때이지만 논에서는 피 뽑기를 수시로 한다. 밭에는 고추가 익어서 첫물 고추따기가 시작된다.

맨 위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