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강의 비상 여주시 여주시사

시간으로 보는 여주시사

  • 김구용의 『척약재집』
    김구용의 『척약재집』

김구용

본관은 안동(安東)이고 초명은 제민(齊閔), 자는 경지(敬之), 호는 척약재 또는 육우당(六友堂)이며, 충렬공(忠烈公) 김방경(金方慶, 1212~1300)의 현손이고, 상락군(上洛君) 김묘(金昴)의 아들이며, 급암(及庵) 민사평(閔思平, 1295~1359)의 외손자(外孫子)이다. 공민왕 때 16세로 진사시험에 합격하고 2년 뒤에 과거에 합격하여 덕녕부 주부가 되었으며 1367년(공민왕 16) 성균관이 중건된 후 민부의랑(民部議郞) 겸 성균직강(成均直講)이 되어 정몽주, 박상충, 이숭인 등과 함께 후학을 가르치며 성리학을 일으키는데 일익을 담당하였다.
  • 선사
    선사시대 연대표 다음시대
  • 고대
    고대시대 연대표 이전시대 다음시대
  • 고려
    고려시대 연대표 이전시대 다음시대 이규보 민영모 민적 민사평 이집 민제 김구용 이색 염흥방
  • 조선
    조선시대 연대표 이전시대 다음시대 임원준 김안국 홍성민 이충원 박진원 조수익 민진원 민정중 홍명구 원두표 박신규 원인손 김좌근 조석여 홍순목 명성황후 홍영식 민영익
  • 근대
    근대 연대표 이전시대 다음시대 민종식 원용팔 심상희 이인영 민용호 홍병기 조성환 김용식 이원기 원필희 김학수 강두영 최영무 류주현
  • 현대
    현대 연대표 이전시대

맨 위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