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립트를 활성화 시키시면 좀더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콘텐츠 바로가기
도움말
전체목차
검색
통합검색
남한강의 비상 여주시 여주시사
주제
시간
공간
어린이 여주시사
여주의 도자기
멀티미디어 콜렉션
시간으로 보는 여주시사
역사연표
세시풍속
이집
이집의 본관은 광주(廣州), 초명은 원령(元齡), 자는 성노(成老), 호는 묵암자(墨巖子) 또는 남천(南川)이고 광주 향리 이당(李唐)의 아들이다. 1347년(충목왕 3) 문과에 급제하여 합포종사(合浦從事)를 거쳐 판전교시사(判典校寺事)에 이르렀다. 저서로는 『둔촌유고(遁村遺稿)』가 있다. 1760년(영조 36)에 편찬한 『여주목읍지』의 인물편에 등재되어 있다.
자세히 보기
이집(李集, 1314~1387)
봉서정(鳳棲亭)
둔촌동문(屯村洞門) 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