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
온조왕 40 |
말갈이 술천성을 침공함 |
214 |
초고왕 49 |
말갈이 기병으로 술천성을 침공함 |
475~551 |
장수왕 63~양원왕 7 |
이 기간에 여주지역은 고구려에 공취(攻取)되어, 이포지역에는 술천군, 여주읍지역에는 골내근현이 설치됨 |
554 |
진흥왕 15 |
10정(停) 중 여덟 번째로 골내근정을 설치함 |
562 |
진흥왕 23 |
골내근정에 소감(少監) 2명을 배치 |
661 |
태종무열왕 8 |
고구려 장군 뇌음신이 말갈 장군 생해(生偕)와 함께 술천성을 공격하여 옴 |
742~765 |
경덕왕대 |
경덕왕이 골내근현을 황효(黃驍)라고 고침 |
940 |
태조 23 |
황려현(黃驪縣)으로 고침 |
977 |
경종 2 |
고달사지 원종대사혜진탑 건립 |
1018 |
현종 9 |
원주 임내에 이속 |
1031 |
현종 22 |
경기도로 복구, 감무를 둠 |
1177. 2 |
명종 7 |
남적(南賊)이 황려현을 침구함 |
1253. 10 |
고종 40 |
황려현령 정신단(鄭臣旦)과 방호별감 조방언(趙邦彦)이 몽고군에 항복함 |
1254 |
고종 41 |
천룡성별감 조방언·황려현령 정신단을 유배함 |
1255 |
고종 42 |
도제고판관 고정매를 황려·이천·천령 등지의 소복별감으로 삼음 |
1308. 11 |
충선왕 복위년 |
황려 민씨를 재상지종(宰相之宗)의 하나에 선정 |
1316. 4 |
충숙왕 3 |
민지(閔漬)를 여흥군(驪興君)으로 삼음 |
1347. 10 |
충목왕 3 |
여흥부사 이몽정 등을 환자 및 호강자의 전장(田莊)을 철거시켰다는 이유로 정동행성이문소(征東行省理問所)에서 가둠 |
1349. 윤7 |
충정왕 1 |
여흥군(驪興君) 민사평 등을 정방(政房) 제조(提調)로 삼음 |
1350. 9 |
충정왕 2 |
이능간(李凌幹)을 천령부원군으로 삼음 |
1376. 4 |
우왕 2 |
나옹(懶翁)이 경상도 밀성군으로 추방되어 가는 도중에 여흥(驪興) 신륵사에 이르러 입적함 |
1376. 8 |
우왕 2 |
신륵사 북쪽 언덕에 나옹의 정골사리(頂骨舍利)를 봉안한 석종형의 부도를 건립함 |
1379 |
우왕 5 |
신륵사 보제존자 석종비 건립 |
1388 |
우왕 14 |
군에서 부로 승격, 황려부로 고침 |
1388. 9 |
창왕 즉위년 |
우왕(王)을 여흥군(驪興郡)으로 옮김 |
1389. 7 |
창왕 1 |
이성계가 심덕부, 배극렴, 정지 등과 함께 우왕을 황려부(黃驪府)에서 향연함 |
1389. 11 |
창왕 1 |
김저(金佇)가 변안열, 이림, 우현보, 우인열, 왕안덕, 우홍수가 공모하여 여흥왕(驪興王)을 복위하기로 한 계획을 고변함 |
1389 |
공양왕 1 |
우왕의 적거지가 되어 여흥군으로 강등 |
1390 |
공양왕 2 |
오사충 등을 장단에 보내 이색을 국문함 |
1394 |
태조 3 |
여흥군에 우박이 내림 |
1396 |
태조 5 |
한산백(韓山伯) 이색이 졸함 |
1396 |
태조 5 |
한성윤(漢城尹) 민개가 졸함 |
1401 |
태종 1 |
원경왕후 민씨의 내향이므로 다시 부로 승격되고 음죽현 북쪽의 어서이촌을 떼어 붙여서 영역이 확장됨 |
1413 |
태종 13 |
도호부로 승격됨 |
1431 |
세종 13 |
예조에서 천령현 안육손(安六孫)의 효자 정려를 주청함 |
1432 |
세종 14 |
여흥(驪興)의 사비 매읍장이 한꺼번에 아들 하나 딸 둘을 낳음 |
1440 |
세종 22 |
여흥부(驪興府) 신륵사의 중수를 명함 |
1449 |
세종 31 |
호군(護軍) 박숭경의 불효죄를 천령현에 고하여 감사에게 보고함 |
1449 |
세종 31 |
박숭경의 옥사로 의금부 관원을 천령현에 파견함 |
1470 |
성종 1 |
이조에서 영릉의 제향(祭享)을 여주 관아에 맡길 것을 청함 |
1471 |
성종 2 |
임금이 영릉 배알을 위해 여주로 출발함 |
1472 |
성종 3 |
여주의 여기(女妓)를 혁파하게 함 |
1473 |
성종 4 |
신륵사를 보은사로 이름을 바꾸게 하고 세종대왕릉의 원찰로 삼음 |
1474 |
성종 5 |
이조에 전지하여 여주사람 민계점을 효행으로 임용함 |
1477 |
성종 8 |
김의동을 여주목사로 제수함 |
1478 |
성종 9 |
최숙정을 여주목사로 삼음 |
1479 |
성종 10 |
양곡 용기를 바꾼 여주목사 최숙정 등을 처벌함 |
1479 |
성종 10 |
조지주를 여주목사에 제수함 |
1480 |
성종 11 |
전 여주목사 최숙정이 『사월』·『아음회편』 등의 책을 바침 |
1483 |
성종 14 |
이수치를 여주목사로 제수함 |
1488 |
성종 19 |
천령현의 복귀를 청함 |
1490 |
성종 21 |
신부(申溥)를 여주목사에 제수함 |
1490 |
성종 21 |
여주사람 사노 개질동이 그 주인 이윤형을 위협한 일에 대해 사형을 감하도록 명함 |
1490 |
성종 21 |
여주에서 큰 비를 만나자 그치기를 기다려 공자에게 제사를 지내기로 함 |
1490 |
성종 21 |
여주 유생을 시험하여 황순중 등을 생원으로 삼음 |
1490 |
성종 21 |
어가가 머문 땅의 백성들은 전조를 감해주고 여주 등의 향교에는 쌀을 내리도록 함 |
1492 |
성종 23 |
윤간(尹侃)을 여주목사로 삼음 |
1497 |
연산군 3 |
여주에 큰 우박이 내림 |
1503 |
연산군 9 |
감찰 신승연이 영릉의 치제관을 여주목사로 할 것을 청함 |
1505 |
연산군 11 |
여주 등의 거울 만드는 상의원 관원을 국문함 |
1513 |
중종 8 |
여주에 지진 발생함 |
1514 |
중종 9 |
충주와 경기 여주에 우박이 내림 |
1520 |
중종 15 |
대간이 전의 일을 논하고 헌부가 여주목사 이곤을 체직시킬 것을 아룀 |
1521 |
중종 16 |
여주 충찬위 남영희의 아내가 죽은 남편을 따라 자결함 |
1523 |
중종 18 |
경기의 여주·양근에 흙비가 내림 |
1525 |
중종 20 |
여주목사를 문관으로 할 것을 지시함 |
1527 |
중종 22 |
경기도 여주에 지진 발생 |
1528 |
중종 23 |
여주에서 사람을 뽑는 일을 거행하는 것에 대해 전교함 |
1530 |
중종 25 |
무자년에 여주에 거둥하였을 때 부시(赴試)가 허락되지 않은 유생들이 들어 온 것에 대해 추고하라고 전교함 |
1536 |
중종 31 |
신광한이 여주에서 살면서 시를 지어 보내옴 |
1538 |
중종 33 |
선비들이 여주 신륵사에 투숙하다가 중들에게 봉변을 당함 |
1544 |
중종 39 |
영릉 등의 제향 등에 대하여 의논함 |
1545 |
인종 1 |
여주 민가의 두 사람이 벼락을 맞아 죽음 |
1547 |
명종 2 |
임필형을 여주목사에 제수함 |
1554 |
명종 9 |
숙부의 처와 간통한 여주사람 진일(秦逸)을 의금부에 하옥함 |
1555 |
명종 10 |
여주 원형리에 우거하였던 영성부원군 신광한이 졸함 |
1555 |
명종 10 |
신거관을 여주목사로 삼음 |
1561 |
명종 16 |
여주와 이천에 천둥과 번개가 치고 우박이 내림 |
1564 |
명종 19 |
여주의 정병 오세영을 정문함 |
1566 |
명종 21 |
진휼을 잘한 수령들에게 향표리를 하사하라고 전교함 |
1585 |
선조 18 |
이해수를 여주목사에 제수함 |
1591 |
선조 24 |
행 호군 이해수를 여주목사에 제수함 |
1592 |
선조 25 |
왜군의 일군(一軍)이 여주·이천을 거쳐 용진으로 들어옴 |
1592 |
선조 25 |
강원도 조방장 원호가 여강 벽사(신륵사)에서 왜적을 처단함 |
1592 |
선조 25 |
원호가 구미포와 마탄에서 왜적을 섬멸함 |
1592 |
선조 25 |
비변사가 여주에 원호를 제수할 것, 음죽에는 원색을 차임할 것 등을 청함 |
1592 |
선조 25 |
전 승지 성영(成泳)이 여주에서 군대를 모집함 |
1592 |
선조 25 |
성영을 여주목사에 제수함 |
1592 |
선조 25 |
남언경을 여주목사로 삼음 |
1595 |
선조 28 |
중종이 여주에 행행할 때 김안국의 충성스러움을 말함 |
1595 |
선조 28 |
유성룡이 여주에 갔을 때 출신 몇 사람이 농한기에 군사연습을 하자고 하였다고 아룀 |
1595 |
선조 28 |
여주에 있는 파사의 옛 성을 수축함 |
1596 |
선조 29 |
윤국형에게 여주목사 관직을 제수함 |
1597 |
선조 30 |
노직(盧稷)이 파사성과 용진 사이의 부용성(芙蓉城)에 망대를 쌓아 적을 막는 일을 아룀 |
1597 |
선조 30 |
수영(水營) 소속 여주·지평 등의 수군을 제번시켜 파사성에 속하게 하자고 건의함 |
1599 |
선조 32 |
정엽을 여주목사로 삼음 |
1602 |
선조 35 |
한순을 여주목사로 삼음 |
1602 |
선조 35 |
김홍미를 여주목사로 삼음 |
1602 |
선조 35 |
우준민을 여주목사에 제수함 |
1605 |
선조 38 |
윤양(尹暘)을 여주목사에 제수함 |
1605 |
선조 38 |
파사산성을 승려 영주에게 맡겨 수선·수호케 하자고 비변사가 아룀 |
1606 |
선조 39 |
김현성을 여주목사에 제수함 |
1610 |
광해군 2 |
김권(金權)을 여주목사로 삼음 |
1618 |
광해군 10 |
이정수를 여주목사에 제수함 |
1621 |
광해군 13 |
여주에 우거중인 한준겸을 도원수로 삼음 |
1623 |
광해군 15 |
여주목사에 민성징을 낙점함 |
1625 |
인조 3 |
유생 성여격 등이 상소하여 “기천서원”이라 사액(賜額) 받음 |
1629 |
인조 7 |
여주의 정경의와 수호군 길수익의 효행에 대해 감사가 치계함 |
1630 |
인조 8 |
원주목사 심명세가 선왕의 능묘를 여주로 옮길 것을 상소함 |
1640 |
인조 18 |
이목(李독)을 여주목사에 제수함 |
1664 |
현종 5 |
여주에 낙향한 조수익을 예조참판에 제수함 |
1675 |
숙종 1 |
윤휴의 계청으로 조여수를 여주목사에 제수함 |
1676 |
숙종 2 |
이조판서 윤휴가 여주에 있으면서 사직상소를 올림 |
1682 |
숙종 8 |
영부사 송시열이 수원에서 강교에 도착하여 소를 올리고 여주로 떠남 |
1682 |
숙종 8 |
승지 조지겸에게 여주에 나가 송시열에게 유지를 전하게 함 |
1683 |
숙종 9 |
봉조하 송시열이 행장을 꾸려 고향으로 돌아간다고 상소함 |
1685 |
숙종 11 |
임진왜란 때 불에 탄 여주향교를 재건함 |
1686 |
숙종 12 |
황창부위 변광보를 여주 장흥사 절터에 이장하게 함 |
1687 |
숙종 13 |
영릉의 변을 당한 석물을 그전의 석물대로 다시 만들게 함 |
1692 |
숙종 18 |
황창부위의 분묘가 있는 산의 백호 등 안에 투장하는 것을 금하게 함 |
1708 |
숙종 34 |
여주유학 신각 등이 상소하여 이존오의 사당에 사액을 청하여 “고산(孤山)”이라 사액 받음 |
1724 |
경종 4 |
여주읍에 불이 나 휼전을 내림 |
1728 |
영조 4 |
이행검을 여주목사에 제수함 |
1728 |
영조 4 |
녕릉(寧陵)에 전알하려 하였으나, 신하들의 간쟁으로 그침 |
1730 |
영조 6 |
녕릉(寧陵)에 행행함 |
1730 |
영조 6 |
돌아오는 길에 여주·광주 등에 민역을 감함 |
1740 |
영조 16 |
행사직 이기진이 여주목사직을 청함 |
1779 |
정조 3 |
김양행을 만나고, 송시열의 사당 짓기를 청하는 유생 정운기의 청을 윤허함 |
1785 |
정조 9 |
대로사에 사액하고 몸소 제문을 지어 근시(近侍)를 보내 치제하게 함 |
1786 |
정조 10 |
이문원을 여주목사로 보임함 |
1797 |
정조 21 |
대사헌 이병정을 여주목사로 보임함 |
1802 |
순조 2 |
고 문간공 홍명하를 여주의 기천서원에 철향할 것을 명함 |
1806 |
순조 6 |
영릉·녕릉의 보토에 종사한 당상 등에게 포상함 |
1822 |
순조 22 |
효자인 여주의 절충 김재윤의 처 원성 등에게 정문을 내림 |
1826 |
순조 26 |
조한영을 고산서원에 추가로 배향하는 일을 하교함 |
1850 |
철종 1 |
영릉·녕릉 두 능의 보토에 종사한 당상 이하의 관원에게 포상함 |
1857 |
철종 8 |
여주의 능에 식목하고 관사를 새로이 건축하게 함 |
1867. 9. 17 |
고종 4 |
경기암행어사 박제관이 여주목사 김익현 등의 포상을 주청함 |
1870. 4. 17 |
고종 7 |
여주에 양전을 시행하도록 함 |
1871. 3. 20 |
고종 8 |
대로사 등 47개 서원을 제외한 전국의 서원을 철폐함 |
1873. 6. 24 |
고종 10 |
대로사의 명칭을 강한사로 바꾸도록 함 |
1873. 9. 29 |
고종 10 |
강한사에 향과 축문을 내리도록 함 |
1879. 9. 24 |
고종 16 |
녕릉의 보수를 승인함 |
1880. 7. 29 |
고종 17 |
여주 양화진의 전세미가 불탐 |
1882. 12. 22 |
고종 19 |
혼순목의 주청으로 여주의 조세를 10년 동안 대납하도록 함 |
1885. 2. 27 |
고종 22 |
여주에서 민란이 발생함 |
1885. 5. 6 |
고종 22 |
여주민란의 윤보길에 대해 형조에서 보고함 |
1890. 7. 26 |
고종 27 |
여주의 대동미를 다시 대납하게 함 |
1895. 5. 26 |
고종 32 |
23부제의 시행에 따라 군으로 강등, 충주부의 속군이 됨 |
1896 |
고종 33 |
의병장 심상희가 여주읍에서 일본군을 습격 살해함 |
1896. 7. 4 |
건양 1 |
여주군수 김원주 비도의 귀화 보고 |
1897. 4. 3 |
광무 1 |
여주의병이 전 여주현감 민영주의 집을 습격함 |
1899. 2. 25 |
광무 3 |
신임 여주군수에 홍병덕 제수함 |
1905 |
광무 9 |
13도창의대장 이인영이 전국엽학의병진의 서울공격을 지휘함 |
1907. 8. 10 |
융희 1 |
여주의병이 일본 선박을 습격함 |
1907. 8. 12 |
융희 1 |
여주의병이 여주읍을 점거함 |
1907. 8. 24 |
융희 1 |
일본군이 여주 이포지역 민가를 습격·방화함 |
1907. 10. 20 |
융희 1 |
의병이 여주 경무분파출소를 습격함 |
1914. 3. 1 |
|
가서, 소개, 근남면의 3개 면을 통합하여 가남면이라 개칭함 |
1914. 3. 1 |
|
한강주변 수계면과 양화천 주변 길천면을 합하여 능서면이라 개칭함 |
1914. 3. 1 |
|
흥곡면과 길천면 일부를 병합하여 흥천면으로 개정함 |
1914. 3. 1 |
|
대송면과 등신면을 합병하여 대신면이라 개칭함 |
1914. 3. 1 |
|
지내면을 병합하고 강천면 가정리를 편입하여 북내면으로 개칭함 |
1914. 11 |
|
대신면 곡수리를 양평군 지제면으로, 양평군 지제면 수곡리를 대신면 계림리로 편입시킴 |
1915. 1. 6 |
|
원주군 부론면 일부를 대둔리에 편입시킴 |
1919. 4. 1 |
|
여주에서 만세시위 발생함 |
1919. 4. 1 |
|
이포공립보통학교를 설립함 |
1919. 4. 3 |
|
여주 청년학생 만세시위운동 벌임 |
1919. 12. 28 |
|
여주군 학생 97명을 모집하여 북내공립보통학교 설립함 |
1920. 3. 3 |
|
(주)조선경동철도 수려선 부설을 허가받음 |
1921. 6 |
|
여주여자야학회를 설립함 |
1922. 7 |
|
여주읍 신청년회를 설립함 |
1922. 11 |
|
학생 100명을 모집하여 가남공립보통학교를 설립함 |
1923. 10 |
|
홍문리 친목조합을 설립함 |
1924. 4. 29 |
|
학생 97명, 교원14명으로 점동공립보통학교를 설립함 |
1924. 11. 1 |
|
형평사 여주지부를 설립함 |
1925. 1. 28 |
|
여주에 발진디프스 창궐함 |
1925. 4 |
|
아동 25명을 모집하여 여주유치원을 설립함 |
1925. 6. 16 |
|
동아일보 여주지국을 설치함 |
1925. 7. 23 |
|
홍수로 인해 여주관내 가옥 427호가 침수되고 도로와 교량이 유실됨 |
1925. 10. 16 |
|
옛 여주군청 정문으로 사용하던 문루(門樓, 지금의 영월루)를 마암에 이건함 |
1925. 12. 20 |
|
여주군청 낙성식을 함 |
1926. 6. 28 |
|
여주선(驪州線) 기공식을 거행함 |
1926. 12. 26 |
|
여주 전화(電話) 교환업무를 개시함 |
1927. 4. 1 |
|
대신공립보통학교를 설립함 |
1927. 12. 25 |
|
기동보린사를 창립함 |
1928. 7. 7 |
|
수원과 여주간 경동철도를 건설함 |
1930. 10 |
|
수려선 개통으로 우마차부 실직됨 |
1933. 5. 1 |
|
여주 주내면 창리에서 대화재(大火災) 발생함 |
1935. 9. 1 |
|
한성은행 여주지점 신축 낙성함 |
1938. 1. 1 |
|
주내면(州內面)이 여주면(驪州面)으로 개칭 |
1939. 12. 20 |
|
여주경찰서 야경단을 조직함 |
1940. 1. 4 |
|
여주경방단 출범식 |
1941. 6. 21 |
|
여주~구둔, 여주~석곡간 버스 운행함 |
1941. 7. 29 |
|
경성지방법원 여주지청 신축함 |
1941. 10. 1 |
|
읍제가 시행되어 여주면이 여주읍으로 승격됨. 봉고제 거행함 |
1941. 10. 20 |
|
여주신사 추계대제 |
1944. 5. 30 |
|
여주에서 해양소년단 발족식 |
1944. 6. 1 |
|
경성지방법원 여주지청사 신축 낙성식 |
1945. 4. 25 |
|
여주농고 개교식 |
1953. 1. 27 |
|
여주에서 호적의 연령위조 대량 적발함 |
1953. 7. 26 |
|
여주 대신학원 인가 |
1953. 11. 9 |
|
여주에 무장공비 출현 |
1953. 11. 13 |
|
여주 조흥은행에 강도 습격 |
1953. 11. 23 |
|
여주 깽은 공비로 밝혀짐 |
1954. 1. 19 |
|
여주 깽사건의 교훈으로 은행과 경찰서 연락체계 구축함 |
1954. 2. 22 |
|
여주에서 미군 제트기 추락함 |
1955. 11. 30 |
|
강천면사무소를 이호리에서 간매리로 이전함 |
1960. 8. 15 |
|
여주군의 한 농부가 윤보선대통령에게 햅쌀을 선물함 |
1963. 10. 23 |
|
여주에서 나룻배 침몰 참사가 발생함 |
1963. 10. 25 |
|
이종우 문교부장관 여주 나룻배 침몰 참사 유족에 조의금을 전달함 |
1963. 11. 24 |
|
여주나루터 참사 어린이 합동위령제 진행 |
1965. 5. 15 |
|
세종대왕 탄신 568주년 기념식 거행 |
1966. 8. 15 |
|
여주에서 버스 전복 사고 발생함 |
1968. 2 |
|
여주문화원 개원 |
1971. 3. 24 |
|
영동고속도로 기공 |
1971. 4. 12 |
|
산북(山北)출장소 개소 |
1972. 5. 17 |
|
서울대학교박물관 조사단이 흔암리에서 신석기시대 주거유적을 발굴함 |
1972. 6. 30 |
|
정동성씨 여주·양평지역 공화당 후보로 국회의원에 당선됨 |
1972. 8. 23 |
|
여주·양평지역 수재민 5천여 명 노숙 |
1972. 8 |
|
대홍수로 인해 흥천면 양촌리 주민들이 대신면으로 이주하여 보통3리가 조성됨 |
1975. 2. 14 |
|
여주 부정투표사건을 폭로한 국민학교 교사가 구속됨 |
1977. 2. 15 |
|
여주 흔암리유적 발굴함 |
1977. 10. 10 |
|
박정희대통령이 세종대왕 숭모제전에 참석함 |
1980 |
|
대신면사무소 준공 |
1980. 3. 15 |
|
최시형 묘비 제막식 |
1980. 10. 10 |
|
전두환대통령이 영릉제전에 참석함 |
1981 |
|
태양열 시설을 갖춘 흥천면사무소 준공 |
1981. 5. 15 |
|
여주 영릉 정화사업 추진하기로함 |
1982. 3. 3 |
|
여주공설운동장 건립 계획 발표함 |
1982. 3. 20 |
|
여주 상리 배수지 확대 계획 발표함 |
1982. 4. 26 |
|
점동면 현수리 양잠시범부락으로 선정됨 |
1982. 7. 8 |
|
여주농고에 우유가공시설 준공 |
1982. 9. 3 |
|
여주경찰서 전경대 숙소 준공 |
1982. 9. 15 |
|
여주공설운동장 기공식 |
1982. 12. 7 |
|
고달사지 정비계획을 발표함 |
1982. 12. 31 |
|
여주읍 가업리 박준원 신도비각 보수 완료함 |
1983. 6. 18 |
|
명성황후생가 정비계획을 발표함 |
1983. 7. 23 |
|
여주농고 축사 및 수리시설 준공 |
1983. 8. 12 |
|
북내면 상교리 원형석실고분 발굴 계획 발표함 |
1983. 10. 28 |
|
여광육아원 준공 |
1983. 11. 28 |
|
북내면 상교리에서 국내 최초 원형석실고분 발굴함 |
1983. 11. 30 |
|
여주~가남간 지방도 포장공사 기공식 |
1984. 5. 30 |
|
신륵사주변 국민관광지 개발 계획을 발표함 |
1984. 6. 2 |
|
여주 군민회관 건립 계획을 발표함 |
1984. 8. 11 |
|
여주~장호원간 국도 37호선 포장공사 기공식 |
1985 |
|
강천면사무소 준공 |
1985. 3. 21 |
|
여주자영농고 기숙사 준공식 |
1985. 6. 21 |
|
북내단위농협 종합청사 준공식 |
1985. 10. 11 |
|
능서우체국 준공식 |
1985. 12. 13 |
|
지방행정 관련 역사자료 수집 계획 발표 |
1985. 12. 23 |
|
금사면사무소 준공 |
1986 |
|
북내면사무소 준공 |
1986. 1. 22 |
|
흥천면 문장리의 홍영식 묘 등 향토유적 8개소 지정 고시 |
1986. 1. 29 |
|
세종국악당 건립 계획 발표 |
1986. 2. 4 |
|
명성황후생가 진입로 시멘트포장 계획 발표 |
1986. 2. 8 |
|
여주 종합운동장 건설 계획 발표 |
1986. 2. 28 |
|
단종어수정 등 34점 향토유적 지정 |
1986. 5. 28 |
|
북내~강천간 도로 확·포장공사 계획 발표 |
1986. 6. 4 |
|
남한강변 골재채취 계획 발표 |
1986. 12. 5 |
|
여주~양평간 37번 국도 확포장공사 완공 |
1986. 12. 6 |
|
수원지검 여주지청 청사 증축 준공식 |
1986. 12. 25 |
|
여주군보건소 여주읍 하리 신청사 준공 |
1987. 1. 1 |
|
흥천면 양촌리를 대신면 보통리로 편입시킴 |
1987. 5. 11 |
|
북내면사무소 신축청사 준공식 |
1987. 6. 15 |
|
세종국악당 신축공사 착공 |
1987. 8. 10 |
|
기천서원 복원공사 착수 |
1987. 10. 16 |
|
여주 재향군인회관 준공 |
1987. 11. 5 |
|
여주경찰서 청사 신축공사 시작 |
1988. 4. 30 |
|
점동면 원부리에서 신라시대 불상을 발견함 |
1988. 9. 10 |
|
여주군 민속도자기종합전시관 개관 |
1988. 11. 8 |
|
여주경찰서 청사 준공 |
1988. 11. 16 |
|
가남면 및 점동면 청사 준공 |
1989. 1. 6 |
|
여주가축시장 매각 |
1989. 4. 1 |
|
산북출장소가 산북면사무소로 승격됨 |
1989. 7. 8 |
|
여주읍 홍문리로 버스종합터미널 이전 계획을 확정함 |
1989. 9. 29 |
|
관내 인구 9만 3,000여명으로 집계됨 |
1990. 10. 16 |
|
여주군 교육청 청사 준공식 |
1991. 7. 15 |
|
세종국악당 개관식 |
1991. 10. 12 |
|
산북면사무소 준공식 |
1991. 12. 19 |
|
이포대교 준공식 |
1992. 1. 16 |
|
여주읍 창리에 있던 김병기 공적비를 영월공원으로 이전함 |
1992. 3. 2 |
|
북내면 오학출장소 개소 |
1992. 3. 3 |
|
여주공업전문대학 신축공사 기공식 |
1992. 7. 9 |
|
여주 버스종합터미널 준공 |
1992. 12. 22 |
|
여주 다목적체육관 준공 |
1993. 6. 12 |
|
강천면에 목아박물관을 개관함 |
1993. 11. 30 |
|
여주교육청 교직원 공동사택 준공식 |
1994. 8. 13 |
|
고달사지 복원사업 추진키로 결정함 |
1994. 11. 9 |
|
강천면 대둔리를 강원도 원주로 편입시킴 |
1995. 3. 1 |
|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강천면 대둔리를 원주시 문막읍으로 편입시키고 9개리로 개편함 |
1995. 6. 29 |
|
가남면에 미곡종합처리장 준공 |
1995. 9. 21 |
|
충주~여주간 고속도로건설 확정 |
1996. 1. 1 |
|
대신면 양촌리, 행정리 신설 |
1996. 3. 7 |
|
현대전자에 여주전문대 사내캠퍼스를 개설함 |
1996. 7. 2 |
|
여주군이 전년도 수익사업을 가장 잘한 기초단체로 선정됨 |
1996. 9. 9 |
|
신 여주대교 개통 |
1996. 12. 31 |
|
박찬수씨 중요무형문화재 제108호 목조각장 보유자로 지정됨 |
1997. 3. 24 |
|
여주군에 지렁이를 이용한 친환경 음식물쓰레기처리장을 건설함 |
1997. 4. 16 |
|
중부내륙고속도로 기공식, 여주~구미간 154㎞ |
1997. 5. 9 |
|
여주군향토사료관 개관 |
1997. 5. 23 |
|
임산물 종합유통센터 준공 |
1997. 5. 25 |
|
여주IC~여주, 확장 4차선도로 개통 |
1997. 11. 10 |
|
두산 음료부문 여주공장을 코카콜라에 매각함 |
1998. 4. 16 |
|
박용국 여주군수 국민회의에 입당함 |
1998. 6. 18 |
|
여주~이천 간선도로 4차선 확장공사 개통 |
1998. 7. 1 |
|
제33대(민선2대) 박용국 여주군수 취임 |
1998. 9. 23 |
|
건설부에서 국도 37호선 여주군 대신면 가산리~보통리 구간을 자동차전용도로 지정함 |
1999. 5. 15 |
|
여주 영릉서 세종대왕 탄신 602주년기념 숭모제전행사를 거행함 |
1999. 11. 2 |
|
명성황후 숭모제전을 거행함 |
1999. 11. 5 |
|
여주군 실업양궁팀 창단. |
1999. 12. 20 |
|
여주~문막간 국도 4차선 개통 |
2000. 5. 26 |
|
도자기엑스포 여주행사장 기공식 개최 |
2000. 6. 2 |
|
여주군 파사산성 발굴조사 현장설명회 개최 |
2000. 6. 9 |
|
여주 고달사지 2차 발굴조사 현장설명회 개최 |
2000. 8. 29 |
|
여주대학에 국내 9번째로 여자축구팀 창단 |
2000. 10. 10 |
|
도자기 프레엑스포, 이천·여주·광주 동시개막 |
2000. 11. 18 |
|
여주 고달사지 3차 발굴조사 착수 |
2001. 1. 5 |
|
여주대학 여자축구팀 창단식 |
2001. 5. 16 |
|
여주 영릉서 세종대왕 탄신 604주년기념 숭모제전행사를 거행함 |
2001. 7. 15 |
|
여주교도서 개청 |
2001. 7. 31 |
|
여주군 새마을회관 개관 |
2001. 9. 7 |
|
도자기엑스포 여주행사장서 야외소성행사를 진행함 |
2001. 11. 7 |
|
여주 진상미축제 개최 |
2001. 12. 27 |
|
성남~여주 복선전철화 확정 |
2002. 2. 2 |
|
(주)행남자기 자회사인 (주)모디 여주공장 생산가동 |
2002. 4. 9 |
|
여주군 버스종합터미널 안에 관광홍보센터를 개관함 |
2002. 4. 21 |
|
제2회 여주세종대왕마라톤대회 개최 |
2002. 8. 21 |
|
한솔개발에서 여주 ‘클럽700’ 골프장을 하이트맥주그룹에 매각함 |
2002. 10. 2 |
|
제5회 진상명품전 개최 |
2002. 10. 17 |
|
이천·여주 경실련 창립기념식 |
2002. 10. 17 |
|
성남~여주간 복선전철 건설사업 확정 |
2002. 10. 19 |
|
여주 장애인시설 라파엘의집 재활센터 준공 |
2002. 12. 20 |
|
여주군 점동소방파견소 준공 |
2002. 12. 20 |
|
중부내륙고속도로 여주~충주 개통 |
2002. 12. 23 |
|
여주소방파출소 이전 준공 |
2003. 3. 2 |
|
여주 원향사지서 통일신라 동종(銅鐘) 발견 |
2003. 3. 28 |
|
경기도립 여주노인전문병원 개원 |
2003. 4. 28 |
|
여주 황포돛배 진수식 |
2003. 5. 15 |
|
여주 영릉서 세종대왕 탄신 606돌 숭모제전을 거행함 |
2003. 9. 24 |
|
여주 청소년 문화의 집 개관식 |
2003. 12. 12 |
|
여주군에서 모던팝스 오케스트라 음악회를 개최함 |
2004. 2. 7 |
|
구 여주대교(지금의 연인교) 전면보수에 착수함 |
2004. 3. 1 |
|
2007년 준공 계획으로 여주에 대규모 종합유통단지 조성함 |
2004. 4. 30 |
|
제16회 여주도자기박람회 개막식 |
2004. 5. 4 |
|
신세계, 여주에 명품 아울렛 추진 |
2004. 5. 15 |
|
여주 영릉서 세종대왕 탄신 607돌 숭모제전을 거행함 |
2004. 7. 17 |
|
중부고속도로 여주~괴산 구간 개통 |
2004. 7. 22 |
|
여주자영농업고등학교 농업기계공동실습소 준공 |
2004. 7. 23 |
|
KCC여주유리공장 5호라인 본격 가동 |
2004. 8. 20 |
|
여주자영농고 두창묵 교장 ‘대산농촌문화상’ 수상 |
2004. 9. 20 |
|
영동고속도로 여주휴게소에 으뜸상품 판매장을 개장함 |
2004. 10. 9 |
|
제558돌 한글날 기념식 거행 |
2004. 10. 11 |
|
여주 이포고교 골프과 첫 신설 |
2004. 10. 13 |
|
여주제일고등학교가 아름다운 학교로 선정됨 |
2004. 11. 12 |
|
여주소방서 개서식 |
2004. 11. 30 |
|
군도 2호선 확·포장공사 준공식 |
2004. 12. 2 |
|
여주 ‘오부자옹기’ 도문화상 수상자로 선정됨 |
2004. 12. 9 |
|
여주종합운동장 리모델링 공사 착수 |
2004. 12. 13 |
|
여주군청 뒤 옹벽 도자기 모자이크 벽화 제작 |
2004. 12. 16 |
|
멸실 위기에 있던 ‘감고당’을 여주로 이전복원 추진함 |
2004. 12. 23 |
|
여주 고구마산지유통센터 개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