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강의 비상 여주시 여주시사

HOME 주제 문학·예술활동 분야별 문예활동 문학분야 시객들이 여주에...

주제로 보는 여주시사

시객들이 여주에 남긴 제영

여주는 일찍이 사가(四佳) 서거정(徐居正)이 편찬한 『동국여지승람』에서 밝혔듯이 “강의 좌우로 펼쳐진 숲과 기름진 논밭이 멀리 백리에 가득하여 벼가 잘 되고 기장과 수수가 잘 되며, 나무하고 풀 베는데 적당하고, 사냥하고 물고기 잡는 데도 적당하여 모든 것이 넉넉하다” 했듯이 여주는 먹고 사는 데 참으로 좋은 농지임에 틀림없다.

따라서 경치 좋고 인심 좋은 여주에 많은 시객들이 오가며 남긴 글이 오늘까지 많이 전한다.

서거정의 『여주팔영(驪州八詠)』, 최숙정(崔淑精)의 『여주팔영』, 김사(金沙)의 『팔영』, 그 외에도 김구용, 이숭인, 권근, 정도전, 이곡, 정몽주, 정자후 등 이루 다 말할 수 없다. 그 중 서거정의 여주팔영 중 「여강」과 최숙정의 시를 소개한다.

서거정의 팔영 중 「여강(驪江)」

인생은 백년 안쪽
백년마저 못 채우니
더구나 진망 속에 얽혀
어찌 한가로이 살랴
저! 강물을 바라보니
물 맑아 갓 끈을 씻겠고
내 속에 맞는 취미 없어
세속의 냉온을 모르니
늙었노라
벼슬 버리고
적송 짝이 되리

최숙정의 시

그림 누각 치레가 곱고도 단정한데
다시 풍월을 가지고 수심 띤 얼굴을 씻네
동쪽 언덕의 절은 놀이 물에 임하였는데
서쪽 기슭 민가는 고요히 산을 지고 있네
굽어보고 쳐다보니 건곤이 모두 세속 밖이요
누에 올라 강을 내려다 보니 신세가 별인간이네
다른 해 벼슬 버리고 티끌 옷깃 털어 죽기까지 한가하리라

여주시청에서 제작한 (시객들이 여주에 남긴 제영)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맨 위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