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강의 비상 여주시 여주시사

HOME 주제 언론 및 시민활동 새마을운동 및 ... 새마을운동 개요 1970년대 새...

주제로 보는 여주시사

1970년대 새마을운동

1970년대의 새마을운동1)

1970년대의 새마을운동은 농촌에서 초가집 없애기(지붕 개량), 담장 개량, 마을 안길 넓히기와 포장하기, 다리 놓기, 농로 만들기, 공동빨래터 만들기 등 기초 환경 개선사업으로 시작되었다. 이러한 기초 환경사업의 성과로 마을회관 건립, 상수도 설치, 하천 정비, 복합영농 추진, 축산, 특용작물 재배 등을 추진하여 농촌의 소득수준도 높아지고 농촌주민에게 ‘하면 된다’는 의식과 성취동기를 부여하게 되었다. 이처럼 새마을운동은 농촌에서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자 1974년부터는 도시지역과 직장, 공장, 학교 새마을운동으로 확산되었다. 도시지역에서는 반상회가 활성화되어 이웃알기와 내 집 앞 쓸기, 저축하기와 거리질서 캠페인을 전개하였다. 직장과 공장에서는 건전한 직장분위기 조성운동으로 시작되어 새마을 분임조 활동을 통한 생산성 향상과 물자절약, 노사관계 정립에 중점을 두었으며, 학교에서는 인사 잘하기, 부모님 공경하기 등 예절교육을 실시하였다. 1970년대 새마을운동은 이와 같이 국민 각계각층이 참여하는 범국민운동으로 자리 잡아 1976년도부터 시작한 자연보호운동과 함께 조국근대화운동으로 발전하기에 이르렀다.

여주시청에서 제작한 (1970년대 새마을운동)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맨 위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