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주의 농가수는 1965년 13,724호, 1970년 15,120호, 1985년 13,685호, 1997년 10,754호, 2002년 9,823호로, 과거 37년 동안 3,901호나 줄었다(<표 1> 참조). 이와 같이 여주가 전형적인 농업지역임에도 농가수가 크게 감소하는 이유는 근대화에 따른 농촌인구의 도시유입과 농업경쟁력 약화에 따른 농업기계화의 영향이라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 농업의 전체 비율도 1955년에는 75.5%를 차지하였으나 1960년대 이후 근대공업이 발달하면서 급격히 감소하여 1970년대 45.7%, 1980년대 28.4%, 1990년대 13.1%로 감소폭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선진국의 3%대에 진입하려면 아직도 많은 시간이 지나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