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강의 비상 여주시 여주시사

HOME 주제 구비전승 방언과 민담 방언 활용과 어미 선어말어미 시제

주제로 보는 여주시사

시제

시제는 어떤 행위나 사건이 일어난 시간적 범위를 표현하는 문법 범주를 말한다. 국어에서는 현재와 과거의 두 가지로만 대립되고, 미래는 현재 시제에 의하여 표현된다. 여주방언의 시제도 표준어와 같이 현재와 과거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시제를 나타내는 여주방언의 선어말어미에는 현재와 미래를 나타내는 ‘-는/ㄴ-’, 과거를 나타내는 ‘-았/었-’, 회상을 나타내는 ‘-더-’ 등이 있다.

-는/ㄴ-

동사에 사용되어 현재 시제 또는 미래 시제를 표현한다. 형용사에는 아무런 형태가 없이 현재 시제가 표현된다. 동사의 경우에도 ‘-는/ㄴ-’은 평서문에서만 사용되고 의문문 등에서는 아무런 형태도 없이 현재와 미래 시제를 나타낸다. 형용사의 경우에 미래 시제는 추측을 표현하는 ‘-겠-’이 사용된다.

  • 지끔 밥 먹는다. (현재)
  • 지금 뭐 하니? (현재)
  • 낼 : 놀로 간다. (미래)
  • 낼 : 놀로 가니? (미래)
  • 철순 좋겠다. (미래)

-았/었-

표준어의 ‘-았/었-’과 동일한 것으로 과거 시제를 표현하며 동시에 완료의 의미를 나타낸다.

  • 교회에 갔다.
  • 밥을 많이 먹었다.

-더-

표준어의 ‘-더-’와 같은 것으로서 흔히 회상시제 어미로 동사 및 형용사에 사용된다.

  • 집에 가니까 아무도 읎더라(없더라).
  • 그거 참 맛있더라.

여주시청에서 제작한 (시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맨 위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