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강의 비상 여주시 여주시사

HOME 주제 민속 민속예술과 놀이문화 놀이문화 남·여아 공동놀이 고니

주제로 보는 여주시사

고니

고니놀이가 언제 어떻게 시작되었는지 알 수 없지만 오래 전부터 주로 평민층에서 성행했다. 고니란 말의 어원은 지방에 따라서 긴누, 고누, 존띠기 등으로 불려왔으며, 한자로는 基地(기지)라고 쓴다. 이 고니는 일을 하다가도 시간의 여유가 있을 때 땅에 그리거나 아니면 종이에 그려서 돌이나 작은 나뭇가지 등으로 말을 감아서 하나씩 놓아가며 상대편의 말을 먼저 따먹거나 많이 따먹음으로써 이기는 놀이이다. 고니에는 노는 방법에 따라 우물고니, 네발고니, 여섯발고니, 호박고니, 물레고니, 곤지고니, 참고니, 바퀴고니 등 여러 가지가 있으며, 그 중 참고로 몇 가지만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① 우물고니

‘X’자의 양끝에 각각 두 마리 말을 놓고 ‘X’자의 네 외변 중 하나의 외변만을 말이 다니지 못하게 하여 빈 밭은 하나밖에 없는 고니 중 가장 간단한 놀이이다.

② 호박고니

원 밖에 직선으로 되어 있는 부분에 각자가 말을 세 개씩 놓고 이것을 한 발씩 움직여 먼저 상대방의 진에 들어가 원상태로 세말을 말집에 가지런히 집어넣으면 이기는 놀이이다.

③ 밭고니

가로 세로 5선을 긋고 가운데 한 줄은 비우고 좌우 두 줄씩 4줄에는 눈마다 작은 말을 놓는다. 가운데 맨 끝의 눈에는 장수말 하나를 놓고 장수말이 움직여 두 졸병말 사이에 끼면 두 졸병말을 따낼 수 있다. 졸병말은 장수말을 움직일 수 없게 하면 이기고, 장수말은 졸병말을 모두 따내면 이기는 놀이다.

여주시청에서 제작한 (고니)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맨 위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