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강의 비상 여주시 여주시사

HOME 주제 민속 민속예술과 놀이문화 판소리 염계달의 더늠 춘향가의 ‘남원...

주제로 보는 여주시사

춘향가의 ‘남원골 한량’

춘향이가 변사또의 수청을 거절하다가 심한 매를 맞는 것을 보고 남원(南原)의 한량(閑良)들이 아래와 같이 분개하는 경드름 대목이다. 이 대목이 염계달의 더늠이라는 것은 정로식의『조선창극사』에서도 지목하는 부분이다.

남원 오입쟁이 하나가 나오면서, 네기를 붙고 박기를 할 녀석, 저런 매질이 또 있느냐. 모지도다 모지도다 우리 골 사또가 모지도다(후략)

이 대목은 한량이 집장사령을 욕하는 내용인데, 이것은 판소리에서 욕하는 대목을 대개 경드름이나 추천목으로 소리하는 관례를 따른 것이다. 이는 서울의 ‘왈짜’들이 욕 잘하기로 유명했기 때문인 것 같다. 그리고 이 경드름 대목의 가락도 경쾌한 느낌을 준다.

여주시청에서 제작한 (춘향가의 ‘남원골 한량’)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맨 위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