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강의 비상 여주시 여주시사

HOME 주제 민속 의식주 및 생업민속 생업민속 농업 농기구 맞두레

주제로 보는 여주시사

맞두레

가뭄이 들면 메마른 논이나 밭에 물을 대기 위하여 땅을 파서 지하수를 공급해야 했다. 이때 너른 들이나 밭에 물을 퍼올리기 위하여 사용된 도구가 있는데, 가장 단순한 형태가 두레이다. 그러나 맞두레는 양수기가 등장하면서 그 기능이 상실되었고, 지금은 어렵(漁獵)할 때 연못의 물을 퍼올리는 데 쓴다.

맞두레에는 ‘외두레’와 ‘쌍두레’가 있는데, 외두레는 두 사람이 서서 물을 푸는 것이고, 쌍두레는 외두레 둘이 나란히 서서 물을 푸는 것이다. 두레는 목판처럼 바닥이 좁고 위가 넓은 나무통 네 귀퉁이에 줄을 달아 두 사람이 두 줄씩 마주 서서 잡고 물을 떠올리는 것이다. 나무통이 쉽게 파손되므로 양철통을 만들어 쓰기도 하였다. 줄의 길이는 사용하는 사람의 키나 물이 고여 있는 곳의 깊이에 따라 조절한다.

여주시청에서 제작한 (맞두레)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맨 위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