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주운 보기는 집주인의 운수와 앞으로 그 집을 지켜줄 성주의 운이 서로 맞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보통 주인의 생년월일을 통해서 보며, 양쪽 운이 맞는 것을 “성주운이 닿는다”고 한다. 성주운이 닿지 않을 경우에는 주인의 아들이나 손자의 운으로 대신하기도 한다.
가족 중(남자)에 운이 닿지 않는 경우는 다른 사람의 운을 빌려서 집을 짓는다. 상량문에는 운을 빌린 사람의 이름을 적으며, 상량의식에서도 주인은 절을 할 수 없다. 집이 다 지어지면 운을 빌린 사람이 하룻밤 자고, 원주인에게 집을 팔아넘기는 형식을 취한다. 때로는 계약서를 쓰기도 하고 중매인도 참여하여 실제인 것처럼 꾸미기도 한다. 원주인은 운을 댄 사람에게 약간의 사례로 답례하고, 상량에 써놓았던 이름을 원주인 것으로 바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