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강의 비상 여주시 여주시사

HOME 주제 민속 통과의례와 세시풍속 세시풍속 월별 세시풍속 6월의 세시풍속 봉선화물들이기

주제로 보는 여주시사

봉선화물들이기

음력 6월이면 봉선화가 활짝 피어 아이들이 손톱에 붉은 물을 들인다. 봉선화 잎을 따서 백반과 함께 넣고 찧은 다음 손톱 위에 얹고 봉선화 잎을 대고 싸서 실로 동여매고 하룻밤을 지낸다. 다음 날 아침에 일어나 풀어보면 손톱에 빨갛게 물이 들어 있다. 이렇게 봉선화로 물들이는 것은 빨간 빛으로 잡귀를 쫓는다는 주술적 의미에서 비롯된 풍습인 듯하다.

요즘에도 시골집 마당 한편에 자리한 봉선화를 쉽게 볼 수 있고, 도시에서도 화분에 봉선화 한 포기 심어놓았다가 붉게 핀 꽃잎으로 손톱에 물들이는 일은 흔히 있는 일이다. 특히 여자아이들이 있는 집에서는 엄마와 아이들이 서로 도와가며 하는 정겨운 모습을 종종 볼 수 있다. 그러면서 손톱에 들인 물이 첫눈이 올 때까지 남아 있으면 첫사랑이 이루어진다는 소박하고 낭만적인 생각을 함께 한다.

여주시청에서 제작한 (봉선화물들이기)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맨 위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