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강의 비상 여주시 여주시사

HOME 주제 구비전승 설화와 전설 지명유래 읍·면·동 법정... 오학동 천송동

주제로 보는 여주시사

천송동

2013년 9월 23일 여주군이 시(市)로 승격하면서 천송리에서 천송동으로 개칭되었다.

본래 여주군 북면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천서동과 송포, 조포동을 병합하여 천송리라 했다. 송포는 신륵사 앞 여강 연안의 산맥이 솔밭으로 포구 형태를 이루었고, 금당천변에 있는 부락이 점차 커지면서 마을을 형성하여 천송리로 불리고 있다. 자연마을로는 내서, 소지개, 조포 등이 있다.

  • 내서 : 금당천 서쪽에 있는 마을이라 내서라고 불렀다.
  • 능골 : 안동 김씨 세도시절 그들의 묘가 많아 능골이라 한다.
  • 대수리 : 내서 북쪽에 있는 마을로 물이 좋다고 한다.
  • 소지개 : 고려 말에 고승 무학대사(혹은 나옹대사)가 천송리에 있는 봉미산에 올라 아랫마을을 바라다보며 사미승에게 “저 마을 뒷산의 형상이 무슨 상이냐?” 물으니 “네. 저 형상은 개 형국입니다.”라고 하자 무학대사가 이르기를 “아니다. 그 형국은 ‘소(牛)지 개(犬)’가 아니다.”라고 하여 소지개로 불렀다고 한다.
  • 동대 : 신륵사 동쪽에 암벽으로 형성된 곳인데 강월헌과 다층전탑이 세워져 있다.
  • 먹골 : 막힌 골짜기라는 뜻에서 멱골이라고도 한다.
  • 모살미 : 모는 뫼(山)의 옛말이고 살미는 낮은 산 끝 부분이다.
  • 바깥 소지개 : 소지개의 바깥쪽 마을이다.
  • 조포 : 내서 동남쪽 남한강가에 있는 마을이다. 영릉에 제사지내는 두부를 제조한 조포소(造泡所)가 있었다 하여 붙여진 명칭이라고도 한다.
  • 어영곡(漁泳谷) : 개울에 물고기가 많이 있어 어영곡이라 불린다.
  • 조포나루 : 조포에서 여주읍 연양리 연촌으로 건너가는 나루이다.

여주시청에서 제작한 (천송동)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맨 위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