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립트를 활성화 시키시면 좀더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콘텐츠 바로가기
도움말
전체목차
검색
통합검색
남한강의 비상 여주시 여주시사
주제
시간
공간
어린이 여주시사
여주의 도자기
멀티미디어 콜렉션
HOME
주제
구비전승
설화와 전설
지명유래
읍·면·동 법정...
대신면
당산리
주제로 보는 여주시사
자연과 역사
[
건너뛰기
]
성씨와 인물
[
건너뛰기
]
문화유산
[
건너뛰기
]
민속과 전승
[
건너뛰기
]
민속(5)
여주민속의 구조와 특징(3)
개요
신앙·의례·노동·놀이의 민속(4)
신앙
의례
노동
놀이
여주민속의 건강성
통과의례와 세시풍속(2)
통과의례(6)
개요
출생의례 및 성인식(3)
임신, 출산, 산후의례(4)
임신
태교와 태몽
출산
산후의례
백일과 돌(2)
백일
돌
성인식(5)
전통관례의 의미
전통관례의 절차
계례
기층민중의 성인의식
현대의 성년식
혼인례(2)
전통혼례
현대혼례(4)
일반적인 혼례
개신교식
불교식
천주교식
회갑례 및 장수 관련 의례(2)
회갑
회갑연 이외의 장수잔치
상장례(3)
전통상장례
재돋움
현대식 상례(3)
개신교식 상례
불교식 상례
천주교식 상례
제사(전통제례)(3)
기제
묘제
사시제
세시풍속(2)
개요
월별 세시풍속(13)
1월의 세시풍속(4)
설날
정초의 십이간지일
입춘
정월 대보름
2월의 세시풍속(2)
나이떡 해먹기
좀생이 점치기
3월의 세시풍속(2)
아이 머리 깎아주기, 나비 보고 점치기
한식
4월의 세시풍속(1)
4월 초파일
5월의 세시풍속(1)
단오
6월의 세시풍속(4)
밀국수·밀 부침개 천신
삼복에 복달임
기우제
봉선화물들이기
7월의 세시풍속(2)
칠성맞이
백중
8월의 세시풍속(2)
추석차례
추석놀이
9월의 세시풍속(1)
중양절
10월의 세시풍속(2)
상달고사
김장
11월의 세시풍속(1)
동지팥죽 쑤기
12월의 세시풍속(2)
묵은세배
수세와 불밝히기
윤달의 세시풍속
의식주 및 생업민속(2)
의식주(3)
의생활(3)
의례복(6)
출생과 의복
혼례와 의복
회갑과 의복
상례와 의복
제례와 의복
명절복
일상복(2)
어린이
성인
노동복
식생활(3)
일상음식(3)
주식류
반찬류
장류
세시와 별식(12)
설
정월대보름
이월초하루(노비일)
삼짇날·한식
초파일
단오·유두
칠석
삼복
추석
중구절
시월고사와 시제
동지
통과의례와 음식(6)
출산
백일과 돌
생일과 회갑
혼례
제례
동제
주생활(4)
건축의례(6)
텃고사
지경다지기
개공고사
성주운 보기
상량고사
집들이
가옥 사례(2)
반가
민가
여주시 가옥의 특징
주거형태의 변화
생업민속(4)
개요
농업(5)
농작물
농사력(12)
정월의 농사력
2월의 농사력
3월의 농사력
4월의 농사력
5월의 농사력
6월의 농사력
7월의 농사력
8월의 농사력
9월의 농사력
10월의 농사력
11월의 농사력
12월의 농사력
공동 노동조직과 놀이(2)
두레
놀이
농기구(41)
쟁기
가래
괭이
쇠스랑
삽
써레
번지
나래
고무래
다래끼
오줌장군
삼태기
호미
제초기
맞두레
용두레
낫
도리깨
그네
탯돌과 개상
탈곡기
멍석
발
키
체
바람개비
디딜방아
연자방아(연자매)
물레방아
절구
맷돌
지게
옹구
발채
길마
마차
손수레
독
섬과 가마니
통가리와 나락뒤주
뒤주
농기구의 변화
상업민속(2)
상업관행-5일장
해상교통
어로민속(2)
어종과 명칭(2)
어종
어류의 명칭
어촌민과 어촌계(3)
어민현황
고기 잡는 방법
어촌계
민간신앙(3)
공동체 신앙(3)
개요
마을신앙(4)
산신제(5)
점동면 처리 소무산 산신제
대신면 초현 2리 단오산치성
북내면 신남리 봉미산 산제
흥천면 효지 2리 매봉산 산신제
가남읍 연대리 연대산 산제사
탑고사와 장승제(2)
강천면 적금리 장승제
산북면 백자리 탑고사
당제
지신밟기
관행신앙(6)
기우제
사직제(2)
각종 제도
의주
풍운뇌우·산천·성황제
악·진·해·독·제왕릉묘제
이사
향려
가정신앙(2)
개요
가정신앙(10)
조상신·제석
성주신
터주신
업신
삼신·삼신할머니·산신
조왕신
측신
칠성신
고사
기타 민간의료, 금기, 점복
무속신앙(4)
개관
여주무속 관련자료(6)
『경기민속지 I 개관편』(경기도박물관, 1998)
『경기도의 굿』(하주성, 1999)
『여주의 민속과 전승』(여주군·여주문화원·여주군사편찬위원회, 2002)
『여주군지』(여주군지편찬위원회, 1989)
『金沙面誌』(여주문화원, 1998)
『경기도 세시풍속』(국립문화재연구소, 2001)
여주의 무속(4)
무당(4)
세습무
강신무
법사
선무당
의례(이포나루 삼신당굿의 사례)(5)
명칭
관련설화
설화의 내용 검토
제당의 현황
삼신당굿의 진행과 내용
무가
기도터와 굿당(4)
번도리(번도 5리) 북성산 물탕골
번도 5리 북성산 약수터
남한강 금모래은모래 강변
기타
맺는 글
민속예술과 놀이문화(5)
판소리(3)
여주와 경기 판소리 문화
염계달의 생애와 예술
염계달의 더늠(6)
춘향가의 ‘네 그른 내력’
춘향가의 ‘이별가’
춘향가의 ‘남원골 한량’
춘향가의 ‘돈타령’
수궁가의 ‘앞내 버들’
수궁가의 ‘토끼 욕하는 대목’
농악(3)
개요(4)
농악의 명칭
농악의 형태(3)
마을농악
걸립농악
판굿
농악의 편성(4)
농악에 쓰는 기
잽이
잡색
악기
음악적 특징(2)
장단
채와 마치
경기농악의 특징
여주농악의 현장(5)
여주농악
지역별 농악의 자취(9)
여주읍
강천면
가남읍
북내면
점동면
흥천면
능서면
대신면
금사면
여주농악의 형태와 내용(2)
점동면 흔암리 강고사굿
지신밟기
여주농악의 인맥(4)
제1기 : 천일초
제2기 : 1987년 7월부터 1992년까지
제3기 : 1993년 11월 이후
제4기 : 두들쟁이 ‘타래’
여주농악의 육성방안
두레싸움(2)
두레에 관한 고찰(4)
두레와 농악
농기세배
농기싸움
분포 및 유래
여주의 두레싸움(3)
여주 두레싸움의 연희장소 및 시기
인원편성
연희방법(6)
길놀이
기세배
마당놀이
기돌림
두레싸움
뒷풀이
놀이문화(4)
성인 민속놀이(17)
윷놀이
널뛰기
그네뛰기
찐뽕(찐봉)
달집태우기
달맞이
씨름
바둑
장기
마패
골패
투전
쌍륙
화투
낫치기
갈퀴치기
돈치기
남아 민속놀이(19)
자치기
닭싸움
못치기
비석치기
진뺏기
말타기
제기차기
팽이치기
깡통차기
딱지치기
가마놀이
기마놀이
도둑잡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