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강의 비상 여주시 여주시사

HOME 주제 구비전승 설화와 전설 지명유래 읍·면·동 법정... 금사면 전북리

주제로 보는 여주시사

전북리

전북리는 남한강변에 위치한 마을로 살꼬지, 살뒤, 살띄, 또는 전북(箭北)으로 불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멀언리를 병합하여 전북리라 하였다. 현재는 남쪽에 있는 살띄와 북쪽에 있는 멀언리의 2개 자연마을로 되어 있다.

전북은 옛날 이 마을에 활터가 있어 유래되었다고도 하며, 마을 앞산의 지형이 활처럼 생겼고 여주지역에서 가장 북쪽에 위치해서 붙여진 이름 이라고도 한다. 또 파사성에서 활을 쏘면 화살이 이곳에 떨어졌다고 하여 화살 전(箭)자를 마을 이름에 붙였다고도 한다.

  • 멀언리 : 살뒤 마을에서 이 마을로 오고자 할 때, 멀리 떨어진 마을이라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하며, 마을건너(남한강) 앙덕이라는 양평군의 마을사람들이 이곳에 오려면 배를 타고 멀리 돌아왔다고 하여 멀언이라고 불렀다고도 한다.
  • 살띄 : 옛날 어느 대사(전설에 의하면 일명 나옹선사라고 함)가 배를 타고 이곳을 지나가다가, 이 마을을 보고 사람이 살만한 곳이라 하여 이곳을 살데, 살띄라고 부르게 되었다고도 하며, 먼 옛날에 망녕든 사람과 마을에서 쫏겨 난 사람들이 짐을 풀고 이곳에서 살았다고 하여 이곳을 살데라고 불렀다고도 한다. 그러나 남한강 여울 물살이나 마을 이름에 화살 전(箭)자를 붙인 점을 감안하여 볼 때 ‘살은(물살)+꼬지(곧이 直)’, ‘살(물살)+띄(허리띠물이 둘려 안은)’, ‘멀(물, 水)+언(안, 內)’, ‘(물, 水)+언(堰)’, ‘몰(隅)+안(內)’ 등의 어원에서 붙여진 마을명이 아닌가 생각한다.

여주시청에서 제작한 (전북리)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맨 위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