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강의 비상 여주시 여주시사

HOME 주제 구비전승 설화와 전설 지명유래 읍·면·동 법정... 흥천면 귀백리

주제로 보는 여주시사

귀백리

본래 여주군 길천면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귀래동과 하백양동을 합하여 귀백리라 했다. 자연마을로는 백양동(白羊洞), 새터말[新垈洞], 귀래동(歸來洞) 등이 있다.

  • 백양골, 백양동, 뱅골 : 귀백리에서 으뜸 되는 마을이다. 옛날 흥곡면 시절 복대리 남쪽의 남산에서 귀백리 아랫마을을 바라보았을 때 흰 양이 누워 있는 형국이라 붙인 이름이다. 조선시대 양화역이 있었다.
  • 귀래 : 뱅골 동쪽, 귀백리 오른 쪽에 있는 마을이다. 옛날에 다른 지역으로 이사를 갔으나 사는 곳이 이곳만 못하여 다시 돌아와 귀래동이라 부르게 되었다.
  • 새터말 : 백양동과 귀래동 사이에 새로 생긴 마을이다.
  • 귀백 소류지(歸白小留池, 뱅골못) : 백양동 서북쪽 상백리 가는 길 밑에 있는 저수지로 뱅골 앞에 있는 못이다.
  • 양화역(楊花驛)터 : 조선시대 뱅골에 있던 경안도 찰방에 달린 양화역의 터이다. 양화역은 말 6마리와 종 16명을 두고 여행자들의 편의를 제공했다고 한다.
  • 억억다리 : 백양동 서쪽, 영릉을 광주군 대왕면(현 서초구 내곡동)에서 지금의 자리로 옮길 때 놓은 다리로 쇠고개에서 넘어와 복하천을 건너기 위해서 급조해 놓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행자우물 : 귀래동 북쪽에 있다. 옛날 관리가 행차하다 물을 먹었다는 곳으로 예전에는 장 담글 때 이 우물물을 썼으며, 귀래동 사람들이 식수로 사용했다고 전한다.
  • 효지서낭 : 귀래동 남쪽에 있다. 효자를 기리기 위해 효지 사람들이 1960년대 중반까지도 소를 잡아 서낭에 고사를 드리던 곳이다.

여주시청에서 제작한 (귀백리)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맨 위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