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래 여주군 수계면의 지역으로서, 마래리라 한 것은 1914년 이후 행정구역 개편 때이다. 본래는 맑은 시내의 뜻으로 청천(淸川)이라 부르던 곳이다. 여기서 ‘말(마)’은 큰 내라는 뜻이다.
- 원뜨럭 : 나그네들이 쉬어갈 수 있도록 주막과 함께 집을 지어 놓았던 곳이다.
- 말래 : 마래리, 마래, 말랑이라고도 한다. 마래란 마을은 전국에 여러 곳이 있으며, 마을 형상이 말이 물을 먹는 것과 같다고 하여 마래라고도 하지만 큰 내 또는 맑은 내의 뜻이라고 하는 사람들이 더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