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강의 비상 여주시 여주시사

HOME 주제 구비전승 설화와 전설 지명유래 읍·면·동 법정... 가남읍 삼승리

주제로 보는 여주시사

삼승리

본래 여주군 근남면 지역인데, 1914년 3월 1일 행정구역 개편 때 삼장리, 원승리, 송림리 일부를 병합하여 삼장리(三壯里)의 삼과 원승리(元承理)의 승자를 따 삼승리라 하였다.

처음에는 원씨가 자리를 잡고 살아 원승리라 불러오던 중 한 집 두 집 늘어감에 따라 2개 자연마을이 증가되어 삼정이와 구터로 불렀으며, 이 3개 부락을 통합하여 삼승리라 부르게 되었다 한다.

  • 삼정이, 삼장리 : 이 부락은 속삼골(삼쟁이), 가삼골(가삼쟁이), 삼장골 등 3골짜기에 위치하고 있어 삼쟁이, 삼장이, 삼정이라 부르게 되었다 한다. 또 지형이 삼장(장농)처럼 생겼다 해서 삼장리라 불렀다고 한다.
  • 음달말 : 삼승리의 부락 중 하나로 응달쪽에 있어 음달말이라 한다.
  • 아랫말 : 삼승리의 부락 중 하나로 맨 아래에 터를 잡았다고 하여 아랫말, 또는 하촌(下村)이라 부르게 되었다 한다.
  • 원승이 : 옛날 강원도에 살던 원주 원씨가 처음 이곳에 와서 자리 잡은 곳이라 하여 원(元)자를 땄고, 이들이 부락에 대를 이어 살게 되자 승(承)자를 붙혀 원승이라 부르게 되었다.
  • 동네말림고개 : 동네말림(조선시대 고관, 세도가 또는 부락자체에서 자기네들만이 땔나무나 풀을 베고 다른 사람은 금지시킨 것으로 시초장[柴草場]이라고도 한다)에 있는 고개라 동네말림고개라 한다.
  • 삼승천(三承川) : 가남면 삼승리에서 시작하여 점동면 덕평리 청미천으로 합류되는 연장 4.1km, 유로 연장 5.5km, 유역면적 10.51km로 청미천의 지류이다. 삼승리에서 시작된 하천이라 삼승천이라 부른다.

여주시청에서 제작한 (삼승리)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맨 위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