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강의 비상 여주시 여주시사

HOME 주제 구비전승 설화와 전설 지명유래 읍·면·동 법정... 점동면 처리

주제로 보는 여주시사

처리

본래 여주군 근동면의 지역으로 고려 때 왕실에 물품을 조달하는 방근곡처(防近谷處)가 있었으므로 방근소가 변하여 범소, 범솥, 또는 처동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처리라 해서 점동면에 편입시켰다.

  • 범솥 : 옛날 소무산에 호랑이가 자주 출몰하였는데, 어느 추운 겨울날 새벽녘에 여물을 쑨 가마솥에 호랑이가 들어가 앉아 있는 것을 본 유래로 범솥이라 하였고, 그 후 솥에서 호랑이가 자고 나간 부락이라 하여 호정리(虎鼎里)라 하였으며 구전되는 과정에서 호리(虎里)라 부르기도 했다. 소무산에는 호랑이와 신선이 그려져 있는 산신각이 있었고 1980년대 말까지 산신각에서 대동이 모여 제사를 지냈다고 한다. 또한 범솥은 소무산 너머 강변마을인 흔바위로 내통하는 지름길이 있어 이곳으로 물건을 실은 우마차와 사람의 내왕이 빈번한 곳이었다.
  • 동학골 : 달걀봉 아래 가래울 넘어가는 깊은 계곡으로 동학군이 숨어 지내던 골짜기로 범솥에서 약 1km 남쪽에 위치한다. 인가는 없다.
  • 선돌(선바위) : 청안리에서 여주로 들어가는 도로변 약 1km지점에 선사유적인 선돌이 있으며 선돌자체를 선바위라고도 하며 그곳의 지명을 선바위라고 한다. 선바위엔 인가가 1가구 있으며 도로변이 개발되어 공장 마당에 선돌이 위치하므로 훼손의 염려가 있다.

여주시청에서 제작한 (처리)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맨 위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