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강의 비상 여주시 여주시사

HOME 주제 구비전승 설화와 전설 지명유래 읍·면·동 법정... 점동면 사곡리

주제로 보는 여주시사

사곡리

본래 여주군 점량면의 지역으로 청미천가가 되어 모래가 많으므로 모래실 또는 사곡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추곡동을 병합하여 사곡리(沙谷里)라 하여 점동면에 편입시켰다. 사곡리는 달걀봉 산기슭에 자리 잡은 가래울과 청미천에 근접한 모래실 마을로 이루어졌다.

가래울 가래울은 점동면 청안리에서 장안리로 나가는 길에 있는 가래울 고개를 넘어서 내려가면 산기슭에 첫 번째 있는 마을이다. 가래울 마을 뒷산에 가래나무가 우거져 있었으므로 가래울[木秋谷]이라고 하였다 한다. 조사자가 알아본 결과 가래울에서 가래나무를 본 사람은 없으며 가래나무가 우거져서 가래울이라는 지명을 얻었다는 주장은 납득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가래울은 숲이 울창한 곳을 이르는 우리말 가래에서 온 지명이며 이곳이 예전에는 울창한 숲이 우거진 곳이었기 때문에 가래울이라고 부른 것으로 생각된다.

  • 모래실 : 청미천과 인접된 부락이며 다른 인접된 마을보다 특히 지대가 낮아 모래가 많이 쌓여 있는 곳이라 하여 모래실이라 한다. 모래실은 먼저 터골[안말, 內沙谷]에 마을을 이루고 있었으나 터골은 인가가 없어지고 바깥말[外沙谷]이 큰 마을이 되었는데 이곳이 모래실이다. 모래실은 마을 북쪽의 달걀봉에서 흘러내린 산자락에 위치하는데 풍수지리설에서 모래실은 “용(龍)이 알을 품은 형상”을 갖고 있으므로, 그 용(龍)의 알을 굴림으로써 알에서 용(龍)이 깨어나고, 따라서 자손을 많이 생산하고 풍년이 든다는 전설을 가지고 있다. 그리하여 정월 대보름에 용의 알을 굴리는 ‘장치기 놀이’가 전래되고 있다.
  • 새터 : 1946년에 큰 홍수가 있었는데 청미천에 인접하여 수해를 입은 인가를 집단이주 시켜서 이루어진 마을이다. 새터는 마을을 관통하여 흐르는 작은 내를 경계로 모래실과 한 마을을 이루고 있다.
  • 목교(木橋) : 모래실과 새터의 사람들은 청미천 건너 현수리(수롱동) 사람들과 내왕하고 그 곳의 경작지를 관리하기 위해서 목교(木橋)를 개설하였는데 그것은 매년 추석 전에 목재로 교각을 세워 다리를 조립하여 개설하고 늦은 봄이 되면 즉, 장마 때 하천에 물이 불기 전에 조립식 목재다리를 해체하였는데 현수리와 사곡리를 연결하는 목교(木橋)인 것이다. 청미천에 물이 불면 나룻배로 사곡리와 현수리 사람들은 오고간 것이다. 이 목교를 개설하고 그 위에 잔디 떼장을 깔았는데 그리하여 목교를 떼다리라 부르기도 한다.
  • 터골 : 지금의 모래실보다 산골짜기 쪽으로 마을을 처음 이루었는데 이곳을 터골이라 하였으며 모래실(밖안말)과 구별하기 위하여 안말[內沙谷]이라고 불렀다. 그러나 지금은 터골에 인가가 없으며 지명만 남아있다.

여주시청에서 제작한 (사곡리)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맨 위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