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강의 비상 여주시 여주시사

HOME 주제 민속 민속예술과 놀이문화 농악 개요 농악의 형태

주제로 보는 여주시사

농악의 형태

농악의 형태는, 생산을 담당하는 두레패들이 주축이 된 마을 단위의 마을 농악과 직업적으로 농악을 하는 걸립농악과 판굿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은 서로 유사한 점이 많고, 또한 서로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에 엄밀하게 구분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연희자 층으로서의 연희집단의 기원이나 유통구조, 그리고 성격면에서는 다소 차이를 보인다. 즉 두레패들이 하는 마을농악은 생활적이고 축제적이며 놀이성이 강하여 ‘더불어 노는 것’인데 반하여, 걸립패들의 농악은 직업적이고 상업적이며 또한 전문적이고 ‘보여주는 것’이 특징이다. 마을 농악은 공동노동, 공동회식, 공동가무라고 하는 두레생활과 결부되어 있으므로 농악을 하는 목적도 자체적 성격을 띠고 있기 때문에 폐쇄적이며 공동체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걸립농악은 돈과 곡식을 받고 하는 것이기 때문에 연희적으로 돋보이게 하기 위하여 개방적인 행동을 하게 된다.

여주시청에서 제작한 (농악의 형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맨 위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