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강의 비상 여주시 여주시사

HOME 주제 문화유산 분묘유적 어~임 유지성 묘

주제로 보는 여주시사

유지성 묘

□ 소재지 : 가남읍 대신리
□ 시 대 : 조선

유지성(1422~1478)은 성종대의 문신으로 본관은 전주이고 자는 무숙(茂叔)이며 초명(初名)은 맹하(孟河)이다. 쌍락정(雙樂亭) 유경손(柳敬孫, 1395~1445)의 차남이자 고양군수 유맹기의 동생이며 직장(直長) 권득(權得)의 사위이다. 관직은 전생서령(典牲署令)을 지냈고 사후 이조참판에 추증되었다.

묘는 대신리 삼은농장의 서쪽 구릉에 동향(東向)으로 자리 잡고 있는 형 유맹기 묘의 좌측 구릉에 위치한다. 묘역은 쌍분(雙墳)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봉분 사이에는 1983년에 건립한 방부개석 양식의 묘표가 서 있다. 오석의 비신 앞면에 “증가선대부(贈嘉善大夫) 이조참판(吏曹參判) 완산(完山) 유공지묘(柳公之墓) 배증정부인(配贈貞夫人) 안동권씨부우좌(安東權氏祔于左)”라 새겨져 있어 부부 합장묘임을 파악할 수 있다. 뒷면에 기록한 음기(陰記)의 말미에 “홍치(弘治) 십삼년(十三年) 경신(庚申, 1500, 연산군 6) 구월(九月) 일(日) 입갈(立竭)”과 “가선대부(嘉善大夫) 겸동지경연(兼同知經筵) 춘추관사(春秋館事) 예문관제학(藝文館提學) 권건(權健) 찬(撰)”이라는 기사가 있어 원래 묘표의 음기 내용을 그대로 재각(再刻)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서자(書者)는 미상이다. 그리고 좌측 봉분 앞에 호석(중앙 폭 225, 좌측 폭 150, 우측 폭 70)을 설치한 후 상석(높이 80, 폭 138, 두께 19)과 상석받침석(높이 10, 폭 115, 두께 17)을 배치하였는데, 앞서 나온 유맹기 묘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조각 수법과 장식성은 훨씬 우수하다. 또한 우측 봉분에도 호석, 상석, 상석 받침석을 거의 동일한 양식과 규모로 진설하여 주목된다.

여주시청에서 제작한 (유지성 묘)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맨 위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