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성종대의 문관으로 본관은 고령(高靈)이며 신숙주의 아들이다. 1474년(성종 5) 부원군의 아들이나 사위 가운데 관직에 오르지 않은 자를 서용할 때 신숙주의 아들이 모두 관직에 있자 그를 당상관으로 올리도록 하였고, 곧 사과(司果)에 제수하였다. 1479년 병조참지· 공조참의·이조참의 등을 거쳐 1485년 성주목사, 1490년 여주목사에 부임하였고, 1494년 홍주목사로 옮겨갔다.
□ 참고문헌 : 『세조실록』, 『성종실록』
조선 성종대의 문관으로 본관은 고령(高靈)이며 신숙주의 아들이다. 1474년(성종 5) 부원군의 아들이나 사위 가운데 관직에 오르지 않은 자를 서용할 때 신숙주의 아들이 모두 관직에 있자 그를 당상관으로 올리도록 하였고, 곧 사과(司果)에 제수하였다. 1479년 병조참지· 공조참의·이조참의 등을 거쳐 1485년 성주목사, 1490년 여주목사에 부임하였고, 1494년 홍주목사로 옮겨갔다.
□ 참고문헌 : 『세조실록』, 『성종실록』
여주시청에서 제작한 (신부)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