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주 필씨(驪州 畢氏)는 대흥(大興), 여주(驪州), 배음(拜音, 청주지방), 추자(楸子, 청주지방) 등 4개 본관이 있다. 본래는 중국 하남(河南)에서 유래되었다고 하며, 이중 대흥 필씨의 경우 시조는 필몽량(畢夢良)으로 조선조 때 무과에 입격하였다. 『고려사(高麗史)』 13권(세가 13)에는 필광찬(畢光贊)이 상서우복야(尙書右僕射)가 되었다는 기사가 있고, 23권(세가 23)에는 서경인(西京人) 필현보(畢賢甫) 등에 대한 기사가 나온다.
여주 필씨(驪州 畢氏)는 대흥(大興), 여주(驪州), 배음(拜音, 청주지방), 추자(楸子, 청주지방) 등 4개 본관이 있다. 본래는 중국 하남(河南)에서 유래되었다고 하며, 이중 대흥 필씨의 경우 시조는 필몽량(畢夢良)으로 조선조 때 무과에 입격하였다. 『고려사(高麗史)』 13권(세가 13)에는 필광찬(畢光贊)이 상서우복야(尙書右僕射)가 되었다는 기사가 있고, 23권(세가 23)에는 서경인(西京人) 필현보(畢賢甫) 등에 대한 기사가 나온다.
여주시청에서 제작한 (여주 필씨)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