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닫기

여주시

    행복여주에서 행복한 여행, 출발


    전체메뉴

    닫기 X


    HOME > 분야별정보 > 복지 > 장애인복지 > 장애진단시기

    • 화면 확대
    • 원래 화면
    • 화면 축소

    분야별정보

    역사가 흐르는 발전하는 도시 여주

    장애진단시기

    • 카카오스토리
    • twitter
    • Facebook
    • QR code
    • 프린터
    장애유형과 장애진단시기
    장애유형 장애진단시기
    지체·시각·청각·
    언어·지적·
    안면장애
    장애의 원인 질환 등에 관하여 충분히 치료하여 장애가 고착되었을 때 등록하며, 그 기준시기는 원인 질환 또는 부상 등의 발생후 또는 수술후 6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치료한 후로 한다.
    뇌병변 장애 뇌성마비, 뇌졸중, 뇌손상 등 기타 뇌병변(예, 파킨슨병 등)이 있는 경우는 발명 또는 외상 후 6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치료한 후에 장애 진단을 하여야 하며 최초 판정일로부터 2년후에 반드시 재판정을 하여야 한다
    정신 장애 1년 이상의 성실하고, 지속적인 치료 후에 호전의 기미가 거의 없을 정도로 장애가 고착되었을 때에 한다.
    발달 장애 전반성발달장애(자폐증)이 확실해진 시점
    신장 장애 3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혈액투석 또는 복막투석치료를 받고 있는 사람 또는 신장을 이식 받은 사람
    호흡기·간 장애 현재의 상태와 관련한 최초 진단 이후 1년 이상이 경과하고, 최근 2개월 이상의 지속적인 치료 후에 호전의 기미가 거의 없을 정도로 장애가 고착되었거나 폐 또는 간을 이식받은 사람
    장루.요구 장애 복원수술이 불가능한 장루(복회음절제술후 에스결장루, 전대장절제술후 시행한 말단형 회장루 등)· 요루(요관피부루, 회장도관 등)의 경우에는 장루(요루) 조성술 이후 진단이 가능하며, 그외 복원수술이 가능한 장루(요루)의 경우에는 장루(요루) 조성술 후 1년이 지난 시점
    뇌전증 장애 1. 성인의 경우 현재의 상태와 관련하여 최초진단 이후 3년이 경과하고 2년이상의 지속적인 치료를 받음에도 불구하고 호전의 기미가 거의 없을 정도로 장애가 고착된 시점
    2. 소아청소년의 경우 뇌전증 증상에 따라 최초 진단 이후 규정기간(1년 내지 2년)이상의 지속적인 치료를 받음에도 불구하고 호전의 기미가 거의 없을 정도로 장애가 고착된 시점
    자료제공꾸밈영역 이미지
    자료제공
    사회복지과 : 최은경 031-887-2598 최종수정일 : 2022-12-08
    정보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의견쓰기

    QUICK LINK

    맨 위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