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박명룡
  • 복사
  • 해당 서브 사이트명 qr코드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 접속 할 수있습니다.

조선 인조대의 충신으로 본관은 죽산(竹山)이고 자는 견숙(見叔)이다. 증참판 박율(朴慄)의 손자이자 증호조판서 박정호(朴挺豪)의 아들이며 구성부사(龜城府使) 박성룡(朴成龍)의 동생이다. 여주 읍치에서 30리 떨어진 곳에 거주하였다. 어려서 부모를 여의었고 자라면서 말 타고 활 쏘는 것을 좋아하였다. 1616년(광해군 8)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에 제수된 이후 오위도총부도사·조산만호(造山萬戶)를 역임하였다. 소근진수군첨절제사(所斤鎭水軍僉節制使)의 임무를 마치고 돌아오던 1624년(인조 2) 이괄의 난을 만나 형 박성룡과 함께 부원수 이수일(李守一)을 도와 공을 세우고 원종공신에 녹훈되었다. 또한 고부군수로 부임하였으나 북방 오랑캐들의 움직임이 심상하지 않으니 북방으로 보내 달라고 여러 번 상소하여 평안도병마우후로 임명되었다. 1627년 후금(後金)이 정묘호란을 일으켜 의주(義州)를 함락하고 안주(安州)에 다다라 화친을 청했을 때 “싸움이 있을 뿐 화해란 없다”고 말하고 수백 명밖에 안 되는 군민(軍民)을 이끌고 싸웠다. 혼자 성 위에 올라가 활을 들고 수백 명의 적을 사살하였고, 활을 쏠 수 없게 되자 칼을 들고 적과 맞서 많은 적을 죽였으나 중과부적으로 인해 결국 전사하고 말았다. 난이 끝난 뒤 안주(安州)에 사우(祠宇)를 세워 제향하였다. 인조는 그의 죽음을 애통히 여겨 병조판서를 추증하고 충신 정려를 하사하였다. 시호는 충민(忠愍)이다. 묘는 이천시에 있다.

□ 참고문헌 : 『여주읍지』(1899), 『죽산박씨세보(竹山朴氏世譜)』(1855), 『이천시지』(2001)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문화예술과
  • 담당자 조원기
  • 연락처 031-887-3582
  • 최종수정일 2023.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