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홍인우
  • 복사
  • 해당 서브 사이트명 qr코드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 접속 할 수있습니다.

조선 명종대의 문신으로 본관은 남양, 자는 응길(應吉), 호는 치재(耻齋)이다. 고려 삼중대광(三重大匡) 태사(太師)인 홍은열(洪殷悅)의 후손이자 첨지중추부사를 지낸 홍덕연(洪德演)의 아들이며 화담(花潭) 서경덕(徐敬德)과 퇴계 이황의 문인이다. 1537년(중종 32) 사마시에 합격했으나 관직에 나가지 않고, 학문연구에만 전심하였다. 당시의 거유(巨儒)인 소재(蘇齋) 노수신(盧守愼)도 공부 중에 의심나는 부분이 있으면 그에게 서신이나 구두로 물었고, 모재 김안국도 학행을 높이 칭찬하였다. 그리고 약 처방을 손수 할 정도로 의술에도 밝았다. 사후 영의정에 추증되었으며, 여주의 기천서원에 배향되었다. 저서로 『치재유고(耻齋遺稿)』, 『관동일록(關東日錄)』이 있다. 묘는 대신면 계림리에 있다. 1760년에 편찬한 『여주목읍지』의 인물편에 등재되어 있다.

□ 참고문헌 : 『명종실록』, 『여주목읍지』(1760)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문화예술과
  • 담당자 조원기
  • 연락처 031-887-3582
  • 최종수정일 2023.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