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고대
  • 복사
  • 해당 서브 사이트명 qr코드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 접속 할 수있습니다.

  • 22년(백제 시조 온조왕 40):말갈(靺鞨)이 술천성(述川城)을 침공함
    • 내용:시조 온조왕 40년(서기 22) 가을 9월에 말갈이 술천성을 침공해 왔다.
    • 원문:始祖 溫祚王 四十年 秋九月 靺鞨來攻述川城.
    • 출전:『三國史記』 권23, 백제본기 제1, 시조 온조왕 40년.
    • 참고:술천성(述川城) 또는 술천군(述川郡)의 위치에 대해서는 학계의 논쟁이 없지 않으나, 이는 현재 여주군 관내의 이포(梨浦)지역에 있던 고현(古縣)으로서 천녕현(川寧縣)이 고대 삼국기 술천군의 후신임에 대한 인식의 부족에서 비롯된 것으로 파악된다. 이에 대해서는 ‘전호수(全浩秀), 2004, 「여주군의 역사」, 『여주의 역사와 문화유적』Ⅰ, 30~33쪽, 세종대박물관’이 참조된다.
  • 214년(백제 제5대 초고왕 49):말갈이 기병(騎兵)으로 술천성을 침공함
    • 내용:제5대 초고왕 49년(서기 214)  겨울 10월1)에 말갈이 날쌘 기병으로 쳐들어와서 술천성까지 이르렀다.
    • 원문:肖古王 四十九年 冬十月 靺鞨以勁騎來侵 至于述川.
    • 출전:『三國史記』 권23, 백제본기 제1, 초고왕 49년.
    • 참고:이해 가을 9월에 백제 초고왕은 북부(北部)의 진과(眞果)에게 명(命)하여 1천의 병력을 거느리고 말갈의 석문성(石門城)을 공격하여 차지하였다. 이에 따라 말갈도 10월에는 백제에 대한 보복공격을 단행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전후관계를 통해서 알 수 있듯이 고대 삼국 정립기에 말갈은 한강 유역에 자리잡고 있던 백제의 동북지역에 접경하였던 적대적 경쟁세력이었다. 이에 대해서는 ‘전호수(全浩秀), 2004, 「여주군의 역사」, 『여주의 역사와 문화Ⅰ』, 30~33쪽, 세종대박물관’이 참조된다.
  • 475년(고구려 장수왕 63)~551년(고구려 양원왕 7 ; 신라 진흥왕 12):이 기간에 여주지역은 고구려에 공취(攻取)되어, 이포지역에는 술천군, 여주읍지역에는 골내근현(骨乃斤縣)이 설치된 것으로 파악됨
    • 출전:(1)『신증동국여지승람』 권23, 여주목 고적조 천령현 ; (2)『삼국사기』 권35, 지4 지리2, 신라 소천군 ; (3)『고려사』 卷23, 지리지 천령군.
    • 참고:이 사실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는 『신증동국여지승람』과 『삼국사기』, 『고려사』에서 관련 기록의 상호연계적 이해가 필요하다. 이에 대해서는 ‘전호수(全浩秀), 2004, 「여주군의 역사」, 『여주의 역사와 문화유적』Ⅰ, 35~37쪽, 세종대박물관’이 참조된다.
  • 서기 661년(태종무열왕 8) 고구려 장군 뇌음신(惱音信)이 말갈 장군 생해(生偕)와 함께 술천성을 공격하여 옴
    • 내용:5월 9일(또는 11일이라고도 하였다)에 고구려 장군 뇌음신(惱音信)이 말갈 장군 생해(生偕)와 함께 군사를 합하여 술천성(述川城)(265) 을 공격해 왔다. 이기지 못하자 북한산성으로 옮겨가 공격하는데, 포차(抛車)(266) 를 벌여놓고 돌을 날리니 그것에 맞는 성곽이나 건물은 그대로 부서졌다.
    • 원문:五月九日 一云十一日 高句麗將軍惱音信 與靺鞨將軍生偕合軍 來攻述川城 不克移攻北漢山城 列抛車 飛石所當 殮屋輒壞.
    • 출전:『三國史記』 권5 신라본기 제5.
  • 소천군(泝川郡)·술천군(述川郡), 황효현(黃驍縣)의 연혁 기사
    • 내용:소천군(泝川郡)([소(泝)는] 기(沂)라고도 썼다)은 본래 고구려 술천군(述川郡)이었는데, 경덕왕이 이름을 고쳤다. 지금[고려] 의 천령군(川寧郡) 이다. 영현이 둘이었다. 황효현(黃驍縣)은 본래 고구려 골내근현(骨乃斤縣)이었는데, 경덕왕이 이름을 고쳤다. 지금[고려] 의 황려현(黃驪縣)이다. 빈양현(濱陽縣)은 본래 고구려 양근현(楊根縣)이었는데, 경덕왕이 이름을 고쳤다. 지금[고려] 은 예전대로 회복하였다.
    • 원문:沂川郡 本高句麗述川郡 景德王改名 今川寧郡 領縣二 黃驍縣 本高句麗骨乃斤縣 景德王改名 今黃驪縣 濱陽縣 本高句麗楊根縣 景德王改名 今復故.
    • 출전:『三國史記』 권35 잡지 제4-지리 2/신라 한주 소천군.
  • 한산주 관내의 술천군 또는 성지매(省知買)의 기사
    • 내용:한산주(漢山州), 국원성(國原城), 또는 미을성(未乙省), 또는 탁장성(託長城)이라고도 하였다. 남천현(南川縣), 또는 남매(南買)(49) 라고도 하였다. 구성(駒城), 또는 멸오(滅烏)라고도 하였다. 잉근내군(仍斤內郡), 술천군(述川郡), 또는 성지매(省知買)라고도 하였다. 골내근현(骨乃斤縣), 양근현(楊根縣), 또는 거사참(去斯斬)이라고도 하였다.
    • 원문:漢山州 國原城一云未乙省 一云託長城 南川縣一云南買 駒城一云滅烏 仍斤內郡述川郡一云省知買 骨乃斤縣 楊根縣一云去斯斬.
    • 출전 :『三國史記』 권 제37 잡지 제6-지리 4/고구려, 백제 고구려 한산주.
  • 신라의 골내근정(骨乃斤停)에 대대감 1명을 설치한 기사
    • 내용:대대감(隊大監) (31) 기병[馬兵]을 거느리는 [대대감은] 계금(罽衿)(32) 에 1명, 음리화정(音里火停)에 1명, 고량부리정(古良夫里停)에 1명, 거사물정(居斯勿停)에 1명, 삼량화정(參良火停)에 1명, 소삼정(召參停)에 1명, 미다부리정(未多夫里停)에 1명, 남천정(南川停)에 1명, 골내근정(骨乃斤停)에 1명, 벌력천정(伐力川停)에 1명, 이화혜정(伊火兮停)에 1명, 녹금당에 3명, 자금당에 3명, 백금당에 3명, 황금당에 3명, 흑금당에 3명, 벽금당에 3명, 적금당에 3명, 청금당에 3명, 청주서(菁州誓)에 1명, 한산주서(漢山州誓)에 1명, 완산주서(完山州誓)에 1명이었다.
    • 원문:隊大監 領馬兵 罽衿一人 音里火停一人 古良夫里停一人 居斯勿
      停一人 參良火停一人 召參停一人 未多夫里停一人 南川停一人 骨乃斤停一人 伐力川停一人 伊火兮停一人 綠衿幢三人 紫衿幢三人 白衿幢三人 黃衿幢三人 黑衿幢三人 碧衿幢三人 赤衿幢三人 靑衿幢三人 菁州誓一人 漢山州誓一人 完山州誓一人.
    • 출전:『三國史記』 권 제40 잡지 제9-직관 하/무관 대대감.
  • 서기 562년(眞興王 23):골내근정(骨乃斤停)에 소감(少監) 2명을 설치한 기사
    • 내용:소감(少監) (36) 은 진흥왕 23년(562)에 설치하였다. …… 기병(騎兵)을 거느리는 [소감은] 음리화정에 2명, 고량부리정에 2명, 거사물정에 2명, 삼량화정에 2명, 소삼정에 2명, 미다부리정에 2명, 남천정에 2명, 골내근정에 2명, 벌력천정에 2명, 이화혜정에 2명, 비금당에 3명, 벽금당에 6명, 녹금당에 6명, 백금당에 6명, 황금당에 6명, 흑금당에 6명, 자금당에 6명, 적금당에 6명, 청금당에 6명, 계금당에 6명, 청주서에 3명, 한산주서에 3명, 완산주서에 3명이었다.
    • 원문:少監 眞興王二十三年置 …… 領騎兵 音里火停二人 古良夫里停二人 居斯勿停二人 參良火停二人 召參停二人 未多夫里停二人 南川停二人 骨乃斤停二人 伐力川停二人 伊火兮停二人 緋衿幢三人 碧衿幢六人 綠衿幢六人 白衿幢六人 黃衿幢六人 黑衿幢六人 紫衿幢六人 赤衿幢六人 靑衿幢六人 罽衿六人 菁州誓三人 漢山州誓三人 完山州誓三人.
    • 출전:『三國史記』 권 제40 잡지 제9-직관 하/무관 소감.
  • 골내근정(骨乃斤停)에 화척(火尺) 2명 설치의 기사
    • 내용:화척(火尺)은 대당에 15명, 귀당에 10명, 한산정에 10명, 우수정에 10명, 하서정에 10명, 완산정에 10명, 녹금당에 10명, 비금당에 10명, 자금당에 10명, 백금당에 13명, 황금당에 13명, 흑금당에 13명, 벽금당에 13명, 적금당에 13명, 청금당에 13명이었는데 대관(大官)(38) 에 속하였다. 계금에 7명, 음리화정에 2명, 고량부리정에 2명, 거사물정에 2명, 삼량화정에 2명, 소삼정에 2명, 미다부리정에 2명, 남천정에 2명, 골내근정에 2명, 벌력천정에 2명, 이화혜정에 2명, 벽금당에 6명, 녹금당에 6명, 백금당에 6명, 황금당에 6명, 흑금당에 6명, 자금당에 6명, 적금당에 6명, 청금당에 6명, 청주서에 2명, 한산주서에 2명, 완산주서에 2명이었는데 기병(騎兵)을 거느렸다. …… 관등은 소감(少監)과 같았다.
    • 원문:火尺 大幢十五人 貴幢十人 漢山停十人 牛首停十人 河西停十人 完山停十人 綠衿幢十人 緋衿幢十人 紫衿幢十人 白衿幢十三人 黃衿幢十三人 黑衿幢十三人 碧衿幢十三人 赤衿幢十三人 靑衿幢十三人 屬大官 罽衿七人 音里火停二人 古良夫里停二人 居斯勿停二人 參良火停二人 召參停二人 未多夫里停二人 南川停二人 骨乃斤停二人 伐力川停二人 伊火兮停二人 碧衿幢六人 綠衿幢六人 白衿幢六人 黃衿幢六人 黑衿幢六人 紫衿幢六人 赤衿幢六人 靑衿幢六人 菁州誓二人 漢山州誓二人 完山州誓二人 領騎兵 …… 位與少監同.
    • 출전:『三國史記』 권 제40 잡지 제9-직관 하/무관 화척.
  • 골근내정에 삼천당주(三千幢主) 6명 설치의 기사
    • 내용:삼천당주(三千幢主) (46) 는 음리화정(47) 에 6명, 고량부리정에 6명, 거사물정에 6명, 삼량화정에 6명, 고삼정에 6명, 미다부리정에 6명, 남천정에 6명, 골내근정에 6명, 벌력천정에 6명, 이벌혜정에 6명이었다. 모두 60명이었는데, 금(衿)을 붙였다. 관등이 사지에서 사찬까지인 자로 임용하였다.
    • 원문:三千幢主 音里火停六人 古良夫里停六人 居斯勿停六人 參良火停六人 召參停六人 未多夫里停六人 南川停六人 骨乃斤停六人 伐力川停六人 伊伐兮停六人 共六十人 著衿 位自舍知至沙飡爲之.
    • 출전:『三國史記』 권 제40 잡지 제9-직관 하/무관 삼천당주.
  • 골내근정(骨乃斤停)에 삼천감(三千監) 6명 설치의 기사
    • 내용:삼천감(三千監)은 음리화정에 6명, 고량부리정에 6명, 거사물정에 6명, 삼량화정에 6명, 소삼정에 6명, 미다부리정에 6명, 남천정에 6명, 골내근정에 6명, 벌력천정에 6명, 이화혜정에 6명이었다. 모두 60명이었으며 금(衿)을 붙였다. 관등이 사지에서 대나마까지인 자로 임용하였다.
    • 원문:三千監 音里火停六人 古良夫里停六人 居斯勿停六人 參良火停六人 召參停六人未多夫里停六人 南川停六人 骨乃斤停六人 伐力川停六人 伊火兮停六人 共六十人 著衿 位自舍知至大奈麻爲之.
    • 출전:『三國史記』 권 제40 잡지 제9-직관 하/무관 삼천감.
  • 서기 554년(眞興王 5):10정(停) 중 여덟 번째로 골내근정(骨乃斤停)을 설치함
    • 내용:10정(停, 혹은 삼천당(三千幢)이라고도 하였다)은, 첫째는 음리화정(音里火停)이었다. 둘째는 고량부리정(古良夫里停)이었다. 셋째는 거사물정(居斯勿停)이었다. 금(衿)의 색깔은 청색이었다. 넷째는 삼량화정(參良火停)이었다. 다섯째는 소삼정(召參停)이었다. 여섯째 미다부리정(未多夫里停)이었다. 금(衿)의 색깔은 흑색이었다. 일곱째는 남천정(南川停)이었다. 여덟째는 골내근정(骨乃斤停)이었다. 금(衿)의 색깔은 황색이었다. 아홉째는 벌력천정(伐力川停)이었다. 열째는 이화혜정(伊火兮停)이었다. 금(衿)의 색깔은 녹색이었다. 모두 진흥왕 5년(544)에 설치하였다.
    • 원문:十停 或云三千幢 一曰音里火停 二曰古良夫里停 三曰居斯勿停 衿色靑 四曰參良火停 五曰召參停 六曰未多夫里停 衿色黑 七曰南川停 八曰骨乃斤停 衿色黃九曰伐力川停 十曰伊火兮停 衿色綠 眞興王五年置.
    • 출전:『三國史記』 권 제40 잡지 제9-직관 하/무관 10정(停).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문화예술과
  • 담당자 조원기
  • 연락처 031-887-3582
  • 최종수정일 2023.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