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여주 서비스업의 배경과 발달
  • 복사
  • 해당 서브 사이트명 qr코드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 접속 할 수있습니다.

여주 서비스업의 역사는 조선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여주시 현암동 싸리산에서 생산된 생활용 도자기와 한지가 지역 상공업 발전의 틀을 마련했고, 발달된 한강수로에 관선이 드나들기 시작하면서 음식점과 숙박업소 등 서비스업체가 생겨나게 되었다. 조선 세종조 때부터 여주 남한강엔 곡식을 실은 배들이 수시로 오갔으며, 이들 상선들은 여주에서 생산된 농산물을 매입한 후 내륙 깊숙한 곳에 위치한 여주 나루터 부근 주막 등 당시 서비스업소에 젓갈류, 소금 등 생필품을 공급했다.

조선시대 여주지역 서비스업은 5일장을 중심으로 점차 번성해 나갔던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여주에는 여주읍을 비롯해 흥천과 금사, 가남 등 모두 7개 지역에 장이 설 정도로 번창했다. 교통수단이 원활하지 못했던 당시 여건을 감안하면 장날을 전후하여 상인들의 숙식은 필수였을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인근 서비스업소들도 상당한 농외소득을 올렸을 것으로 판단된다.

해방 이후 한 때 산북과 대신, 북내 등지에도 장이 섰던 적이 있지만 그 후 버스 등 대중교통이 발달하면서 곧 폐쇄되고 말았다. 여주의 5일장은 1965년에 4개 가축시장을 포함해 모두 15개에 달했다. 이후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교통수단이 대폭 늘어난 데다 인구가 밀집되어 있는 도심지를 중심으로 상설시장이 형성되면서 가축시장은 2개소, 일반시장은 3개소로 대폭 줄어들었다.

그러나 5일장이 점차 축소되어 쇠락의 길을 걷게 된 반면 여주읍 하리 공설시장은 새롭고 다양한 종류의 잡화를 제공, 소비심리를 자극받은 고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등 유래없는 호황을 누리게 되었다. 이같은 호황과 시대변화로 점차 시장 주변에는 예식장과 이발소, 미장원이 속속 문을 열기 시작했으며 버스터미널을 중심으로 석유판매업소와 각종 유흥·숙박업소까지 생겨나게 되었다.

결국 여주의 서비스업은 조선시대 남한강 상선 나루터 주변에서 태동된 이후 해방과 1970년대를 거치며 대중교통 수단 발달을 계기로 대규모 재래시장이 형성되었고 이때부터 비로소 현대의 서비스업 속성을 지니게 되었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문화예술과
  • 담당자 조원기
  • 연락처 031-887-3582
  • 최종수정일 2023.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