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흥천면의 역사·인문적 배경
  • 복사
  • 해당 서브 사이트명 qr코드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 접속 할 수있습니다.

흥천면의 계신리 산5번지 동편 자연암벽에 경기도유형문화제 제98호인 마애여래입상이 부드러운 미소를 머금은 채 남한강과 복하천 합류 지점을 내려다보고 있다.

법의에 새긴 옷주름과 매듭의 표현이 너무도 세세하고 명료하며, 3중 원형의 두광이 빛나는 머리에는 큼직한 육계가 솟고 원만한 상호의 이마에는 백호가 선명하다. 눈, 귀, 코가 잘 정렬돼 있고 목에는 삼도가 둘러져 있다. 법의는 통견으로 불신(佛身) 전면에 완만한 U자형의 옷주름이 조각됐고, 가슴에는 내의의 매듭이 사실적으로 표현됐으며, 양쪽 발은 벗은 채 노출돼 있다. 불상의 부드러운 신체표현, 유려한 옷의 문양 등 여러 곳에서 신라시대의 양식이 엿보이나, 부분적인 수법으로 보아 고려시대 초기에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고 한다.

흥천면 문장리에는 초대 우정국장인 홍영식(洪英植)의 묘가 있으며, 외사리에는 천하의 명당자리라는 금반형터가 있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문화예술과
  • 담당자 조원기
  • 연락처 031-887-3582
  • 최종수정일 2023.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