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문화관광과 친환경농업의 미래전원도시
  • 복사
  • 해당 서브 사이트명 qr코드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 접속 할 수있습니다.

여주의 산하는 남한강을 가슴으로 품으면서 한남정맥의 넉넉한 자락에 자리한 지리적 위치에서도 알 수 있듯이 시의 전역이 관광명소를 이루고 있다. 고려 이래 시인 묵객이 여주의 명승을 노래한 시어(詩語)에서도 알 수 있듯이 여주는 생활문화의 현장으로 역사의 고장임을 실감할 수 있다. 고려의 고승유적(高僧遺跡)으로 점철된 신륵사를 비롯하여 남한강변은 선사시대 농경문화의 유적에서 ‘여주쌀’의 연원을 이루었듯 미래 전원도시의 지평을 예고하는 곳이기도 하다. 수도권 상수원의 청정지역이 된 것도 역사의 소산이다. 개발이 제한되는 친환경농업지로의 전원도시로서 주목되는 여주의 자연환경은 이 시대가 추구하는 피안이기도 한 것이다. 


한강으로 유입되는 여러 하천의 지류에 산재한 관광명소는 바로 민족사의 어제와 오늘을 이야기하는 역사의 흔적이다. 영릉, 명성황후생가, 흔암리 선사주거지, 고달사지, 파사성, 강한사, 여주향교, 매산서원, 이완장군묘, 서희장군묘, 영월루 등 한강과 어우러진 문화유산의 현장은 찾는 이의 가슴을 설레게 하고 있다. 여강시축(驪江詩軸)에서 아직도 숨쉬고 있는 명현석학의 시구(詩句)가 한강의 여울목 여주의 산하를 이야기하고 있는 한 여주의 절묘한 문화유적은 관광명소로 부각되어 민족사의 생명력을 일깨우는 향수로 여주를 대변할 것이다. 농경문화의 고장 여주의 민속놀이와 함께 이포나루의 애환, 자채쌀, 여주도자기, 남한강의 청정수역에서 생산되는 잉어는 친환경 미래의 땅 여주의 상징이 되고 있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문화예술과
  • 담당자 조원기
  • 연락처 031-887-3582
  • 최종수정일 2023.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