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체언의 자음군 단순화
  • 복사
  • 해당 서브 사이트명 qr코드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 접속 할 수있습니다.

오늘날 현대국어에서 실현되는 체언의 어간말에 나타날 수 있는 자음군은 아래의 예와 같이 여섯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명사 단독형과, 곡용할 때의 음성실현형을 보면 다음과 같다.

체언의 자음군 단순화
자음군 예[발음] -이 -을 -도
/ㄳ/ 몫 [목] [목씨] [목쓸] [목뚜]
[모기] [모글]
넋 [넉] [넉씨] [넉쓸] [넉뚜]
[너기] [너글]
삯 [삭] [삭씨] [삭쓸] [삭뚜]
[사기] [사글]
/ㅄ/ 값 [갑] [갑씨] [갑쓸] [갑뚜]
[가비] [가블]
/ㄺ/ 닭 [닥] [달기] [달글] [닥뚜]
[다기] [다글]
흙 [흑] [흘기] [흘글] [흑뚜]
[흐기] [흐글]
/ㄼ/ 여덟 [여덜] [여덜이] [여더를] [여덜두]
[여덜비] [여덜블]
/ㄻ/ 삶 [삼] [살미] [살믈] [삼두]
[사미] [사믈]
/ㄽ/ 외곬 [외골] [외고리] [외고를] [외골두]

위의 예들은 여주방언에서 실현되는 자음군으로 체언 단독형과 곡용할 때의 음성실현형을 나열하였다. 곡용시 따르는 조사로는 /-이/, /-을/, /-도/의 세 가지를 가지고 실현하였으며 음성실현이 불가능하거나 실현되지 않는 것은 표기를 하지 않았다. 그 결과 여주지역에서 실현되는 체언 어간말 자음군으로는 /ㄳ/, /ㅄ/, /ㄺ/, /ㄼ/, /ㄻ/, /ㄽ/ 등 여섯 개의 자음군이 실현되었다. 그리고 체언 어간말 재구조화는 점점 확산 되어감을 알 수 있는데, /ㄺ/의 ‘흙, 닭’의 경우와 /ㄼ/의 ‘여덟’의 경우, /ㄽ/의 ‘외곬’, /ㅄ/의 ‘값’의 경우이다. 이외의 다른 자음군도 자음으로 시작하는 조사보다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와 결합할 때 자음군이 실현되는 음성형과 재구조화된 변이형이 환경에 따라 실현율이 다르게 나타나지만 공존함을 알 수 있었으며 어느 쪽이 더 우세하게 실현되느냐의 차이라고 할 수 있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문화예술과
  • 담당자 조원기
  • 연락처 031-887-3582
  • 최종수정일 2023.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