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어/→/으/
  • 복사
  • 해당 서브 사이트명 qr코드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 접속 할 수있습니다.

  • ㄱ) 성[승:], 서말[스:말], 설날[슬:날],
    섣달[슫:달], 석되[슥:뙤], 더럽다[드:럽다],
    성낸다[씅:내다]

  • ㄴ) 전쟁[즌:장], 점심[즘:심], 전기[증:기],
    정말[증:말], 천천히[츤:츠니], 적다[쩍:다]

  • ㄷ) 거지[그:지], 거짓말[그:짐말], 거북하다[그:북하다],
    꺼내다[끄:내다]

  • ㄹ) 헌법[흔:뻡], 헝겊[흥:겁], 험하다[흠:하다]

  • ㅁ) 어른들[으:른덜], 엉덩이[응뎅이], (돈을)얻다[으:따],
    없다[읍:따]

  • ㅂ) 성[승], 널[늘], 아버지[아브지],
    꺼내다[끄내다], 거듭[그듭], 얼마나[을마나],
    서다[스다], 넣다[느타]

위의 예들은 /어/→/으/의 현상으로 중부방언인 여주방언에서 매우 보편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이다. 주로 어두의 위치에서 음장을 갖는 경우에 실현되지만 꼭 그렇지만은 않다. 여기에서는 음장이 없는 경우에도 많이 실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ㄱ)은 체언과 용언으로 구분하였고 여기에서 실현되는 환경은 치경음의 뒤에 올 때 실현된다고 할 수 있다.

ㄴ)은 체언과 부사, 용언으로 구분하여 놓았으며 실현되는 환경으로는 구개음 뒤에서 실현된다고 할 수 있다. 이 지역에서 실현되는 용언의 예는 그리 많지 않다.

ㄷ)은 연구개음의 뒤에서 실현되는 환경들이다.

ㄹ)은 그 실현 환경을 보면 후음의 뒤에 올 경우 실현되는 것으로, 많이 실현되고 있지는 않지만 위의 예들의 경우처럼 음장을 가지면서 의미를 분명히 해주고 있다. 음장의 경우는 다분히 수의적이라 할 수 있다. 이는 화자가 어느 장소에서 어떤 경우에 말을 하느냐에 따라서 장음과 단음을 실현하는 경우라고 할 수 있다.

ㅁ)은 자음이 선행하지 않을 경우의 예로서 어두 음절에서까지 장모음 /어/→/으/의 변이 현상을 나타낸 것이다.

ㅂ)은 단음으로 실현되는 예들이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문화예술과
  • 담당자 조원기
  • 연락처 031-887-3582
  • 최종수정일 2023.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