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송촌리
  • 복사
  • 해당 서브 사이트명 qr코드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 접속 할 수있습니다.

본래 여주군 대신면 지역으로 옛날부터 소나무가 많다고 하여 송대(松垈)의 ‘송’자와 마촌(馬村)의 ‘촌’자를 합하여 송촌리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송산리와 응촌(마야우) 송구터, 작은송구터를 합쳐 송촌리라 부른다.

  • 마야우 : 큰송구터 북쪽에 있는 마을로 파사산 동쪽 기슭이다. 옛날에 송촌1리 전역으로 매가 많이 살았다고 해서 응촌(鷹村)이라 하다가 마야우라고 부른다.
  • 송구터 : 소나무가 밀집하여 송구터라고도 하고, 소나무 언덕을 깎아 만든 마을이라서 송구터라고도 한다.
  • 애미말 : 작은 송구터이다. 아름다운 여인의 눈썹처럼 생겼다고 아미마을이라고 하다가 지금은 애미말이라고 한다.
  • 인비터 : 파사왕시대 전쟁에서 불리하게 되자 왕의 부인이 이쪽으로 와서 천막을 치고 살았다고 한다. 그런데 왕의 부인 성이 인씨여서 인비터라 불렀다고 한다.
  • 개부심산 : 아무리 장마가 지나가도 이산에 안개만 걷히면 비가 와 ‘개부심했다’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비가 내린 후에 다시 약간 오는 비를 여주 방언으로 개부심이라고 한다.
  • 성재산 : 파사왕이 전쟁을 하기 위해 파사성을 쌓았는데 큰 고개에다 성을 쌓아서 성재산이라 불렀다고 한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문화예술과
  • 담당자 조원기
  • 연락처 031-887-3582
  • 최종수정일 2023.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