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상구리
  • 복사
  • 해당 서브 사이트명 qr코드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 접속 할 수있습니다.

여주군 등신면 지역으로 숙경공주 묘비의 거북받침이 있어 거북골, 웃거북골, 또는 상구동이라 했다고 한다. 한편 조선 초 고려 충신 72명 중 9명이 은거하고 살았다 하여 상구리라 하였다 하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두둔이(斗屯), 양지말, 안말, 윗미륵이, 평촌 등의 자연마을을 합하여 상구리라 하였다.

  • 두둔이 : 조선 초에 고려 충신 72인 중 9명이 두문불출 은거하였다 하여 두둔이라 부르게 되었다고도 하며, 뒷고개가 높아 쉬엄쉬엄 넘어간다는 뜻의 둔둔치(屯屯峙)가 두둔치로 변음 되었다고도 한다.
  • 양지말 : 햇빛이 유난히 잘 드는 곳이라 하여 양지말이라 부른다.
  • 미륵이 : 미륵불이 있어 미륵이라 불린다.
  • 평촌 : 옛날부터 들 복판에 위치한 마을이라 하여 벌말이라 하다가 평촌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 더덕고개 : 더덕이 많이 자란다고 하여 더덕고개라 부른다.
  • 맷돌봉 : 바위가 맷돌처럼 어긋난 맷돌바위가 있는 산이라 맷돌봉이라고 한다.
  • 오층탑 : 옛날에 오층탑이 있었는데 지금은 탑 밑둥만 남아 있다.
  • 어수물(우물) : 두둔이 동북쪽에 있는 우물이다. 지름 2m, 깊이1.5m의 크기다. 바위틈에서 솟아나오는 물은 양이 많고 질이 좋아서 50여 호의 식수와 앞 들의 농수로 쓰였는데, 단종이 숙부에게 왕위를 빼앗기고 영월로 유배 갈 때 이 물을 마셨다고 한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문화예술과
  • 담당자 조원기
  • 연락처 031-887-3582
  • 최종수정일 2023.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