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대신리
  • 복사
  • 해당 서브 사이트명 qr코드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 접속 할 수있습니다.

본래 여주군 가서곡면의 지역인데 1914년 3월 1일 행정구역 개편 때 신무동, 대사동, 다엽동을 합하여 대사동의 ‘대(大)’자와 신문동의 ‘신(新)’자를 따서 대신리라 하였다.

옛날에 원님이 태어났고 유명한 큰절이 있었으며 다업동의 넓은 들이 확장되면서 부락이 날로 융성하였다고 하여 날로 새로워진다는 뜻으로 대신리라 부르게 되었다 한다.

  • 안터 : 조선시대 이곳에 김인천이라는 사람이 고을원님으로 벼슬하게 되어 원님 덕분에 마을 사람들이 살기가 좋아지게 되어 ‘안(安)터’라 부르게 되었다 한다. 대신리에서 으뜸 되는 마을로 안터를 ‘신문동(新文洞)’이라고도 한다. 여주읍 왕대리 일대에는 문화유씨들이 많이 살았는데 세종대왕의 영릉을 이장해 오면서 모두 떠나 지금 대신리(안터)에 정착하게 되었다 한다. 이 안터는 임금으로부터 시사받은 터라 한다. 옛날 풍수지리설에 의하면 여주에는 살기 좋은 터가 5곳이 있는데 금사면의 ‘천양’, 점동면의 ‘모래실’, 여주읍의 ‘삼밭골’, 가남면의 ‘일신’, 가남면의 ‘안터’를 5안터라 한다.
  • 댓절 : 옛 신라시대에 이곳에 큰절이 있었던 터라 하여 대절[大寺]이라 부르게 되었는데 지금은 ‘댓절’이라 불리고 있다. 댓절을 일명 ‘대사동(大寺洞)’이라 한다.
  • 다업동(多業洞) : 원래 이곳은 부락이 없었는데 이웃 부락에서 산을 개간하고 경지를 일구게 되어 차츰 부락이 형성되었다고 하는데, 일이 많다고 하여 ‘다업동’이라 부르게 되었다 한다. 다업동을 일명 다엽동(多葉洞)이라고도 한다.
  • 새터말 : 마을회관 서쪽에 새로 터를 잡았다하여 ‘새터말’이라 한다.
  • 금베틀 : 옛날 이 마을 은행나무 밑에 큰 부자 대감이 살았는데 어떤 큰 난리가 일어나 피난 갈 때 금베틀을 우물 속에 던져놓고 피난 갔다 와서 다시 우물 속에 금베틀을 건져내려고 하니 비가 와서 못 건졌다 한다. 비가 그쳐 또 건지려고 하면 또 비가 오고해서 결국 건지지 못하였다 한다. 이후 이 우물은 메워지고 작은 협곡(샘물)만 남아있는데 이 마을에서는 가뭄이 들어 비가 안 오면 이 협곡을 파내면 비가 왔다 한다.
  • 찬우물 : 손발이 차가울 정도로 찬물이 흘러나오는 굴이 있는데, 땀띠, 부스럼 등 피부병이 나면 떠다 먹이거나 목욕을 하면 말끔히 나앗다고 한다. 옛날 냉장고가 없던 시절에 찬 우물을 떠다 냉장고처럼 사용 할 정도로 차가웠다 한다. 따라서 마을에서는 찬 우물을 신성시하여 금줄을 쳐놓고 마을에서 가장 부정을 안탄 사람을 뽑아 매년 가을이 되면 찬 우물에 정(井)제사를 지낸다 한다. 여기에는 마을의 대동단결의 의미도 있다 한다.
  • 대신천 : 여주군 가남면 대신리에서 시작하여 가남면 정단리 양화천으로 합류되는 연장 10km의 내이다.
  • 안터 은행나무 : 약 350년 된 은행나무로 두 그루가 있는데 위에 있는 은행나무(상상봉)에는 황새 한 쌍이 집을 짓고 살았으며, 밑에 있는 은행나무(하상봉)에는 백로나 왜가리가 집을 짓고 평화롭게 살았다 한다.
  • 절골 : 댓절이라는 큰 절이 있었던 골짜기로 미륵보살상이 있었다고 한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문화예술과
  • 담당자 조원기
  • 연락처 031-887-3582
  • 최종수정일 2023.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