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신해리
  • 복사
  • 해당 서브 사이트명 qr코드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 접속 할 수있습니다.

본래 여주군 가서곡면의 지역인데 1914년 3월 1일 행정구역 개편 때 헌해동, 태평동 일부와 소개곡면의 일신동 일부를 병합하여 일신과 헌해의 이름을 각각 따서 신해리라 하였다.

일신은 부락 주민들이 부지런히 일을 하여 나날이 새로워진다하여 ‘일신(日新)’이라 하고, 헌바다는 마을의 형상이 무명을 짜는 바디 모양이라 하여 바디라고 하였는데 새 바디는 잘 끊어지므로, 잘 끊어지지 않는 것이 좋다하여 헌 바디라 하였다가 세월이 지나면서 헌바다가 되었다 한다. 또한 신해1리와 2리를 합친 부락으로 신해1리는 일신이라 하고 신해2리는 헌해동 또는 헌바다라 부르는데 일신의 ‘신(新)’자와 헌해동의 ‘해(海)’자를 따서 신해리라 부르게 되었다 한다.

  • 일신동 : 옛날 가서곡면에 속했던 마을로 일신이라고도 한다.
  • 작은말 : 일신 남쪽 골짜기에 작은 마을이 있었다 하여 작은말이라 한다.
  • 이댕이 : 옛날 이씨 형제가 자리를 잡고 살았는데 마을의 형상이 동이처럼 생겼다 하여 이동이라 부르다가 후에 이댕이로 부르게 되었다 한다. 일신에서 좀 떨어져 있어 이댕이라 하며, 물방아가 있었다 해서 물방아거리라고도 한다.
  • 창골 : 임진왜란 당시 군사들이 먹을 군량미를 보관하였다고 해서 창곡(倉穀)으로 불렀다고 하는데 오랜 세월이 지나면서 창골로 부르게 되었다 한다. 창골 양달쪽에 있는 마을은 양달말, 창골 음달쪽에 있는 마을은 음달말이라 한다. 한편, 봄이 되면 창꽃(진달래)이 만발하여 창골이라 하였으며 지금도 봄이 되면 진달래가 많이 핀다.
  • 달봉산 : 해발 약 100m 정도의 야산으로 토끼가 달을 보고 껑충 뛰는 형상이라 달봉산이라 하며 정월 대보름이 되면 산에 올라 달구경을 하면서 소원을 빌었다 한다. 또한 이곳에서 장군이나 큰 인물이 나온다 하여 일본 놈들이 쇠꼬챙이를 박아 산의 혈을 끊었다 한다.
  • 동명산 : 옛날 나라에 국상이 나면 마을 사람들이 동명산에 올라 울었다고 한다.
  • 신해저수지 : 일명 일신저수지라 한다.
  • 황장군묘 : 옛날 황장군이 있어 갑옷을 입고 말을 타고 일신에서 정단리로 왔다갔다 하였다 한다. 얼마 전까지 마을에서 제관을 뽑아 해마다 황장군 묘에 제를 지냈는데 현재는 묘를 이장시키고 그 자리에는 마을창고가 들어서 있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문화예술과
  • 담당자 조원기
  • 연락처 031-887-3582
  • 최종수정일 2023.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