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일제의 민족말살정책
  • 복사
  • 해당 서브 사이트명 qr코드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 접속 할 수있습니다.

1920년대 말에 시작된 세계대공황을 겪으면서 세계 자본주의 각국은 국가권력을 강화하는 가운데 경제블록 구축과 경제통제를 통해 체제위기를 타개함으로써 세계적 규모의 국가독점자본주의화가 진행되었다. 후발자본주의 국가인 일본 역시 이 파국적인 경제공황의 돌파구를 일본 독점자본의 재편성, 식민지정책 강화, 중국대륙의 침략 등에서 찾아나갔다. 만주침략에 이은 일만(日滿)경제블록의 구축과 경제통제를 통해 체제위기를 타개하고자 한 것이다. 이후 군부 주도 아래 중일전쟁(1937), 태평양전쟁(1941) 등 전면적인 침략전쟁을 감행한 일제는 전시총동원체제를 구축하면서 식민지·점령지에서 전쟁 수행을 위한 자원수탈·물자동원체계를 확립해나갔다.1)

 

특히 1937년 본격적인 중국침략 개시에 따른 전시체제로의 전환은 조선 민중에게 전쟁수행정책에 대한 전면적 협력을 강제하게 되었다. 일제는 임시자금조정법(1937), 국가총동원법(1938), 가격통제령(1939) 등 일련의 법안을 제정하여 자금·인력·물자 등의 생산·분배·소비를 철저히 통제하고 이를 전쟁물자 조달에 집중 배분하는 전시경제통제정책을 추진하였으며, 사상적으로는 황국신민화, 내선일체 정책을 더욱 강력히 추진하였다. 즉 침략전쟁을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 한국인에 대한 통제와 수탈을 자행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그러한 통제와 수탈을 합리화시키는 정책을 실시한 것이다. 아래에서는 일제가 침략전쟁을 확대시키면서 식민지 조선을 본격적인 전시체제로 편입시키기 위해 조선 민중을 대상으로 실시한 국민정신총동원·국민총력운동, 신사참배 강요, 창씨개명, 황국신민화 교육정책 등 제반 민족말살정책을 검토하는 가운데 전시체제하 여주지역의 동향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문화예술과
  • 담당자 조원기
  • 연락처 031-887-3582
  • 최종수정일 2023.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