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신지리 장채놀이
  • 복사
  • 해당 서브 사이트명 qr코드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 접속 할 수있습니다.

장채놀이는 ‘장치기’라고도 하는데, 오래전부터 나무꾼이나 농부들 사이에서 전해져 오는 오늘날의 필드 하키와 거의 비슷한 놀이이다.

넓은 들이나 논 또는 밭에서 마을 대항 형식의 대규모로 하기도 하고, 산이나 마을의 좁은 평지에서 두세 명 또는 서너 명의 인원이 소규모로 하기도 한다. 흔히 “짱 친다”고 말하기도 하는 남성들의 놀이로서, 지게 작대기를 이용하여 소나무로 깎은 ‘장’을 쳐서 겨루는 놀이이다. 놀이를 하다 보면 잘못해서 뒤통수에 맞아 눈알이 빠지기도 했다고 하는 것으로 보아 적잖이 위험한 놀이였던 것 같다.

나무로 깎아 만든 공을 쳐서 하는 장채놀이는 남성적인 놀이로 위험이 뒤따르기도 하지만, 한바탕 뛰고 난 후의 기쁨을 맛보기 위해 행하던 놀이로, 우리나라 민속놀이의 태반이 무속적인 경향을 보이고 있는 것에 비해, 장채놀이는 흥 위주의 놀이이다. 이 놀이는 승부를 떠나 체력단련과 마을 주민의 단합을 위해서 하던 놀이이다.

장채놀이의 방법은 주로 넓은 들에서 할 때와 나무꾼들이 산에서 여흥으로 할 때의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그런데 하는 방법은 같지만, 인원편성이나 소도구 등에서만 약간의 차이가 난다. 넓은 들이나 논밭에서 할 때는 마을마다 농악대와 응원단을 내세워서 대대적인 마을 단위의 경기가 되었으며, 산에서 나무꾼들이 쉬는 시간을 이용해 할 때는 2~3명이 한 편을 이루어(이를 현장치기라고 한다) 지게의 작대기를 이용해 놀이를 한다.

놀이 방법은 놀이장소의 양끝에 금을 긋거나 돌을 놓아서 표시를 해놓고 나무로 깎아 만든 공을 쳐서 먼저 자기편으로 끌고 가는 편이 이기게 되는 비교적 간단한 놀이이다. 장채놀이는 장소의 넓고 좁음에 관계없는 놀이이기 때문에 전국에서 고루 행하였지만 지금은 거의 하지 않고 있다. 평택지방에서는 ‘얼네공치기’라고 불렀으며, 경상도 지역에서는 ‘짱치기’라고 이름하였다.

간단한 기구를 갖고 행해지는 장채놀이는 때로는 나무막대를 휘두르기 때문에 다칠 염려가 있어 위험이 따르기도 하지만, 우리 고유의 민속놀이를 발굴하고 재연함에 있어 청소년들에게 우리의 고유한 민속으로 권장해볼 만한 놀이이다. 여주에서는 거의 전지역에서 장채놀이를 하였다. 그러나 지금은 능서면 신지리 등 몇 군데를 제외하고는 하지 않고 있다.

여기서는 능서면 신지리의 장채놀이에 대해 살펴보자.

여주읍(여흥동·중앙동)에서 이천 쪽으로 가다가 능서 못 미처 매류리 쪽으로 꺾어서 태평리 쪽으로 가다보면 능서면 신지리에 다다른다. 신지리는 북성산이 옆으로 길게 뻗어 있어 이곳에 성지(城址)가 있으며 큰길에서 깊숙이 들어간 곳에 음지와 양지의 마을로 나뉘어져 있다. 지금으로부터 20여 년 전 새미실 마을에서 행했던 장채놀이를 먼저 살펴본 후, 현재 신지리에서 행하는 장채놀이에 대해 기술하겠다.

놀이를 하는 날이면 음지와 양지로 나누어 장정들 중에서 선수를 선발하고 술과 음식을 준비하여 마을의 노인들을 모신 가운데 이 놀이를 시작한다.

음지선수는 머리에 파란 띠를 두르고 양지선수는 빨간 띠를 둘러서 표시하며, 이때의 빨간 띠는 태양의 양지를, 파란 띠는 달빛의 음지를 나타낸다.

양 마을에서는 농악대를 선두로 응원단이 나와서 각기 자기편을 응원한다. 놀이장소는 넓은 논이나 밭을 이용해 소나무옹이가 여러 겹 뭉친 것을 지름 7~8㎝ 정도로 둥글게 깎아 공을 만들거나, 짚을 꼬아 둥글게 뭉쳐 만든 공을 물푸레나무로 1미터 50센티 정도의 끝이 구부러진 막대기로 공을 쳐내어 승패를 가름했다.

놀이마당의 넓이는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고 그때 장소의 형편을 고려해서 설정했으며, 새끼줄을 쳐서 골문을 정하고 촌장의 신호에 따라서 나무공을 자기편 쪽으로 빼앗아가서 많이 넘기는 쪽이 이기게 된다. 다른 경기가 상대 쪽으로 많이 넣는 편이 이기는 것이고, 현재의 구기가 거의 다 그러하지만 장채놀이는 특이하다고 하겠다.

장채놀이의 시기는 겨울철 놀이라고 하는 지역(평택지방)도 있고, 음력 정월에서 대보름 사이에 행해지던 놀이라고 기술한 곳도 있으나, 신지리는 마을 단위로 할 때는 음력 정초이지만, 이때뿐만이 아니라 항상 즐겨왔다고 한다. 즉 나무꾼들이 나무를 하다가 서로 내기를 해 나무를 한무더기씩 넘겨주기를 하거나, 아니면 쉬는 시간을 이용해서 즐기려는 뜻에서 이 장채놀이를 즐겨왔다고 한다. 이런 점으로 볼 때 장채놀이는 한동안 춘하추동의 구별 없이 일 년을 통해서 즐기는 체력단련을 위한 민속놀이인 것으로 나타난다.

다음은 현재 신지리에서 행하는 장채놀이에 대해 언급하겠다.

신지1리에는 마을회관 앞을 흐르는 개울이 있고, 그 개울을 건널 수 있는 다리가 있다. 장채놀이는 이 다리 위에서 이루어진다. 정월 보름에 소나무로 축구공 만하게 만든 ‘장’을 하키 채와 비슷하게 만든 ‘장채’로 쳐서 자기 마을 쪽으로 끌고 오는 경기이다. 신지리에는 응달마을과 양달마을이 있는데, 응달마을은 남쪽에 자리를 잡고 양달마을은 북쪽에 자리를 잡는다.

경기는 장대만을 이용하되 발로 찰 수는 있지만 손으로 만질 수는 없다. 인원에는 제한이 없고 마을구성원 모두가 참여할 수 있다. 축구의 골대처럼 자기 팀으로 장을 끌고 가는 지점이 정해져 있다. 남녀 공용 놀이이지만 대부분 남자가 한다. 경기는 생각보다 과격해서 부상자가 나오기도 하였다. 장을 자기네 마을 쪽으로 끌고 가는 것은 복을 끌고 간다는 의미라고 한다.1) 때문에 경기가 끝난 뒤에는 이긴 편에서 술과 안주를 내어 마을잔치를 하게 된다.

이상으로 여주의 우수 전통민속놀이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여주는 타지역보다 쌍용거줄다리기·거북놀이·답교놀이 등 우수한 전통민속놀이가 많다. 그리고 이에 대한 애정 또한 타지역 못지않다. 그러나 과학과 기술의 발달, 서양문명의 영향 등으로 인해 점차 서구화되어가고 있는바, 이 때문에 우수한 전통민속놀이도 점차 사라져가고 있는 실정이다.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러한 우수한 전통민속놀이를 계승·발전시켜나갈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나 지방자치단체, 문화단체(문화원 등), 교육기관 등의 지원과 활성화 방안, 홍보교육 및 기예인 육성대책이 수립 시행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여주 군민 모두가 자긍심과 긍지를 가지고 적극적·자발적으로 참여할 뿐만 아니라 이를 실행에 옮길 수 있는 방안도 모색해야만 한다. 이러한 제반대책을 수립·시행할 때 점차 사라져가는 여주의 우수한 전통민속놀이를 보존·계승할 수 있다. 이 점을 유념하면서 우수 전통민속놀이에 좀더 애정을 갖고 활성화할 수 있도록 우리 모두 노력하자.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문화예술과
  • 담당자 조원기
  • 연락처 031-887-3582
  • 최종수정일 2023.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