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일본군의 ‘남한대토벌’ 이후 여주지역 의병운동
  • 복사
  • 해당 서브 사이트명 qr코드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 접속 할 수있습니다.

1904년 이래 치열하게 전개된 전국 항일의병운동은 조선 식민지화를 서두르던 일제에게 큰 장애요소였다. 1905년 11월 을사조약을 강제 체결하여 사실상 조선을 식민지화하고서도 이를 안팎으로 공식화하지 못한 것은 바로 의병들의 끊임없는 항일항전 때문이기도 하였다. 이름만 남은 대한제국의 친일내각을 앞세워 재정 및 화폐 정리 등을 통해 조선사회를 식민지 구조로 재편해 왔던 일제는, 1909년 말이 되면서 의병에 대한 대대적인 토벌을 단행하였다. 1909년 9월에서 10월 한 달 가까이, 가장 치열했던 호남의병을 대상으로 일제가 벌인 ‘남한대토벌’은, 일제측의 집계에 따르더라도 “사망 420명, 체포 또는 자수 1,687명, 체포된 주요 의병장 26명, 그 밖에 다수 의병장 살해”라는 결과를 남긴 무자비한 살육전이었다.1) “남한대토벌에 의하여 전라남북도 양도(兩道)에 있는 폭도의 대소굴은 거의 소탕되었고, 기타 지방도 대략 정온 상태로 들어갔다.”고 일제가 평가했듯이,2) 일제는 호남의병을 토벌한 뒤 병력을 다른 지역의 의병토벌에 집중투입할 수 있었기 때문에 의병운동의 객관적 조건은 그만큼 어려워졌다.

 

이러한 객관적 조건뿐만 아니라 의병 진영의 주체적 조건도 1904년부터 근 5년에 걸친 장기항전으로 그만큼 악화되었다. 수많은 의병장과 의병들이 체포 또는 전사하여 의병 진영의 인적 자원을 고갈시키고 사기를 크게 떨어뜨렸다. 경기의병도 예외는 아니었다. 군대해산 뒤부터 ‘남한대토벌’이 단행된 시기에 귀순·체포·전사한 경기 의병 지도층은 총 101명으로, 체포 77명, 전사 13명, 귀순 9명, 기타 2명이었다. 그 가운데 여주를 포함한 경기 남동부지역은 총 24명으로, 체포 18명, 귀순 5명, 전사 1명이었다.3)

 

의병 진영 안의 주체적 조건의 변화와 함께 그동안 의병들을 유형·무형으로 지원했던 일반 민중의 조건도 크게 변하였다. 이것은 민중 자체에 의한 주체적 변화라기보다는 일제에 의해 강제된 것이었다. 일제는 일찍부터 의병에 대한 지역주민의 지원을 차단할 목적으로 ‘한 마을을 완전히 불태우고 죽이는’ 이른바 ‘초토화 작전’을 벌였고,4) 면장·동장·지방위원·일진회원 그리고 곳곳에 심어 놓은 밀정을 통하여 민중을 감시하였다. 일제의 감시와 탄압은 의병에 대한 민중의 공공연한 지원을 어렵게 하였다.

 

1909년 말이 되면서 경기의병운동의 주·객관적 조건은 전체적으로 매우 불리하게 바뀌어갔고, 그 사정은 경기지방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남한대토벌’을 전후하여 경기 남동부지역에서 활동한 의병지도층 17명(체포 10명, 자수 1명, 피살 1명, 활동 5명) 가운데, 여주에서 활동하였던 의병장 김춘수가 1909년 12월 토벌군에게 투항하거나, 1910년 1월 방인관이 부하를 이끌고 강원도 원주로 이동하거나5) 맹달섭이 1910년 3월 체포되었듯이, 악화된 국면을 반전시키지는 못했다.6) 그런데도 이 시기 여주에서는 소규모로 편재된 의병들이 활동을 이어갔다. 아래 표는 ‘남한대토벌’을 앞뒤로 여주에서 활동했던 의병부대를 정리한 것이다.

 

한때 일본군의 집중적인 토벌을 받아 거의 침체되다시피 했던 여주를 비롯한 경기 남동부지역의 의병운동은 ‘남한대토벌’ 뒤 다시 일어나기 시작하였다. 1909년 11월 여주 경찰서장이 “여주경찰서 관내 수비대 인양 후 갑자기 5명 내지 10여 명의 소집단의 폭도(의병)가 각지에 배회하여 날로 그 수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고 하였듯이,7) 이 시기 여주를 비롯한 경기 남부지역에서 의병운동이 다시 일어난 것은, 이곳에 주둔하고 있던 수비대 일부가 철수하여 수색과 토벌이 소원해진 틈을 타서 다른 지방에서 활동하던 의병들이 이곳으로 옮겨온 것이었다. 또 이 지역에서 계속 항쟁해왔는데도 임진강유역 및 동북부지역에서 활동하던 의병들보다 상대적으로 규모와 활약 등이 두드러지지 않아 그동안 일제 관헌의 주목을 크게 받지 못하다가 이 시기에 실체가 드러난 경우이다. 즉 김춘수와 방인관은 ‘13도 연합의병’에 참여한 인물로서 서울진공이 무산된 뒤 활동상이 드러나지 않다가 일제의 ‘남한대토벌’ 뒤 병력이 중부지방으로 집중되는 과정에서 그 신원이 드러난 경우이다.8) 이때 이들이 이끈 의병 규모는 각각 6명·8명으로 소규모 부대였다.9) 박정문과 박군선은 5명 안팎의 부하를 거느리고 여주 등지에서 줄곧 활동해왔으나 임진강 유역 및 동북부지역에서 활동하던 의병들보다 상대적으로 규모나 활약 등이 두드러지지 않았던 경우이다. 한봉수는 원래 충청남북도에서 활동하던 인물로서 ‘남한대토벌’ 뒤 활동 근거지를 여주를 비롯한 경기 남부지역으로 옮긴 경우다. 또 맹달섭은 1906년 5월 민종식 부대의 북문 수비대장으로 의병에 참여, 1907년 1월부터 여주를 비롯한 경기 남부지역에서 민창식 등과 합진하여 을사조약 체결 뒤부터 여주의병운동을 이끈 인물이다.10)

 

이처럼 5~10명 안팎의 소부대로 여주의병운동이 다시 일어나 여주 관내를 빈번하게 출몰하자, 여주경찰서에서는 1909년 11월 16일부터 군인 출신 일본순사 3명과 지리에 밝은 한국인 순사 2명으로 변장정찰대를 조직하여 대수색에 들어갔다.11) 변장정찰대는 11월 23일 오후 5시경 여주군 금사면 이포 → 24일 오전 2시 대송면 개군산면 자포 → 24일 오후 1시 금사면 상품동을 경유하여 양평군 남시면 백석동에 이르러 박군선의 부하 서순필(徐順弼), 이작실(李作實), 안석현(安石鉉), 구여실(具汝實)을 체포했으나, 도중에 의병들이 한인 순사를 목침으로 강타, 부상시키고 동료 의병 4명을 구출하여 산속으로 흩어졌다. 변장정찰대는 27일 오후 11시까지 양평군 고읍면 편전리 일대를 뒤지며 수색했으나 소득 없이 돌아왔다.12)

 

해가 바뀌어도 여주의병의 활동은 간간이 이어졌다. 1910년 4월 29일에는 의병 7~8명이 여주재무서에서 공매한 낙찰 겨를 수취하려고 여주군 등신면(等神面) 비포리(碑浦里)의 한 주막에 머물고 있던 일본인을 습격, 금 53원과 엽총 1정, 인천부 가권(仁川府家卷) 1매 등을 탈취하였다.13) 1910년 5월 4일 의병 5명이 여주군 금사면 백자동(柏子洞) 민가를 습격하여 군자금을 마련하려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품실(品實) 방면으로 물러났다.14) 5월 8일 오후 12시 일본인을 습격한 바 있던 의병 8명이 여주군 대송면의 한 민가를 습격하여 군자금을 거둬갔다.15) 이처럼 1910년 5월에 접어들면서 ‘한일합병’이 눈앞의 현실로 닥친 상황에서 여주의병운동은 퇴조기의 의병운동의 양상을 반영하듯이 주로 군자금을 탈취하는 운동양상을 띠며 서서히 사라져갔다.16)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문화예술과
  • 담당자 조원기
  • 연락처 031-887-3582
  • 최종수정일 2023.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