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각종 제도
  • 복사
  • 해당 서브 사이트명 qr코드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 접속 할 수있습니다.

단(壇)의 제도는 영조척(營造尺)을 기준으로 동서 2장 5척이고 남북 2장 5척이며 높이는 3척이다. 사방에 뜰을 만들고 계단은 3계단으로 하였으며, 단하는 앞의 너비가 12장 내지 9장 5척이다. 동·서·남 각각 5장이고, 둘레 척수는 담 둘레를 목표로 하였고, 사문(四門)은 홍유(紅油)를 칠하였으며 북문(北門)으로부터 들어가게 하였다.

석주(石柱)는 길이 2척 5촌이고 너비와 두께가 방(方) 1척이다. 단(壇) 남쪽 정문에 매립하고 2척 5촌이 땅 속으로 들어가고 다만 둥글고 뾰족한 수부(首部)만을 남겼다.

신호(神號)는 각 포정사(布政司) 및 포정사 소속에서 포정사관(布政司官)이 치제(致祭)할지라도 부사(府社)·부직(府稷)이라고 칭하였다.

신패(神牌) 2건은 나무로 만들고 주사칠에 자양(字樣)은 청색으로 한다. 신고(身高)는 2척 2촌, 너비 4촌 5푼, 두께 9푼이며, 신패를 세우는 틀은 높이 4촌 5푼, 너비 8촌 5푼, 두께 4촌 5푼으로 제사지낼 때에 단상(壇上)에 시설(施設)한다. 이는 왜탁(矮卓) 위에 놓았다가 거두었다가 한다. 제사를 마친 뒤에는 보관하여 둔다.

방실(房室)은 신주(神廚)가 3칸인데, 대들보는 3칸을 통하는 나무로 한다. 방의 깊이는 2장 4척인데, 가운데에 있는 방 한 칸은 너비 1장 5척 9촌이며, 양쪽 방은 매칸 너비 1장 2척 5촌이다. 노구솥[鍋]은 5구(口)가 있어야 하는데, 매구(每口) 2척 5촌이다. 고방(庫房)의 칸은 신주(神廚)와 같다. 안에는 벽을 치고 칸을 들였다.

시양(豕羊)을 도살하는 재생방(宰牲房)은 깊이 2장 2척 5촌의 3칸 통방(通房)이다. 가운데 한 칸 정 중앙에 도살하는 작은 못을 파두었다. 길이 7척 수심 2척 너비 3척의 못으로, 4면을 벽돌로 쌓았다. 못 위에 목안(木案)을 걸쳐놓고 도살한 혈수(血水)를 못 안에 모았다가 제(祭)를 마친 뒤 내버리고 못에 뚜껑을 닫고 방문에 자물통을 채운다. 재생방 앞에 예부터 저수지가 있는 곳은 다시 고칠 필요가 없고, 못이 없는 곳은 또한 못을 팔 까닭이 없다고 한다. 다만 우물물을 써야 한다. 양생통(樑牲桶: 牛·羊·豕 등 희생을 찢는 통) 4개는 넓고 커서 희생을 씻을 만하여야 한다.

축문을 써서 붙이고 읽는 판인 축판(祝板)은 나무로 만든다.

사직제의 축문(祝文)은 다음과 같다.

維 年歲次 月 朔 日 某官某等
敢昭告于 某社之神 某稷之神 曰 品物資生 蒸民(庶民)乃粒 養育之功 司土是賴 維玆仲春秋 禮宣告報 告祀 謹以牲帛醮齊粢庶品 以陳明薦 尙饗

생각하오니 년 세차 월 삭일에 아무 관 아무 등은 감히 부주군현 사(社)의 신부(神府) 주현 직(稷)의 신(神)께 밝게 고하나이다. 미읍미물(美邑美物)이 자뢰하여 살아나고 여러 백성들이 곡식을 먹고 살았나이다. 양육하신 공은 토지를 맡고 곡식을 맡은 신명의 힘을 의뢰하였습니다. 생각건대 이 중춘 중추에 예가 마땅히 고사(告祀) 혹 보사(報祀)하게 하옵기에 삼가 생(牲)과 백(帛)과 단술을 가져오고 모든 제수를 담아서 공경히 진설하고 밝게 드립니다. 흠향하옵시기를 바랍니다.

제기(祭器)는 생반(牲潘)이 넷인데, 나무로 만들고 주색(朱色)으로 칠한다. 밑[底]과 뚜껑[蓋]이 있는데, 높이 6촌, 길이 3척 3촌, 너비 2척 2촌인데, 대개 뚜껑 양쪽 머리에 각각 1개씩 도합 2개의 구리쇠로 고리를 달고, 밑에도 양쪽으로 구리쇠 고리를 도합 4개 만들어 단다.

안탁(案卓)의 경우, 신패안(神牌案) 2개는 높이 1척 1촌, 너비 1척 9촌, 길이 3척 3촌이다. 변두보궤안(籩豆簠簋案) 4개는 높이 1척 1촌, 너비 1척 9촌, 길이 3척 3촌이다. 생반안(牲潘案) 4개는 높이 6촌, 너비 2척 4촌, 길이 3척 5촌이다. 축안(祝案) 1개는 높이 1척 1촌, 너비 1척 9촌, 길이 3척 3촌이다. 주준안(酒尊案) 1개는 높이 1척 7촌 5푼, 너비 1척 5촌, 길이 5척으로, 탁면(卓面)에 구멍 셋을 뚫고 목판 한 쪽으로 구멍 밑에 가로 대어 주준(酒尊)을 넣게 한다. 작백안(爵帛案) 1개는 높이 2척 7촌 5푼, 너비 2척 3촌, 길이 3척이다.

변두(籩豆)와 보궤(簠簋)는 모두 질그릇으로 한다. 보궤접(簠簋楪)은 약간 크다.

주준(酒尊) 3개는 자준(瓷尊)을 쓴다. 준(尊)마다 뚜껑이 있다. 포중(布中) 1개와 작주표(酌酒杓) 1개, 작(爵) 6개, 큰 국그릇 잔, 질그릇 대접을 향로(香爐) 좌우에 시설한다.

관세준용자(盥洗尊用瓷: 물동이는 질그릇을 쓴다) 작수표(酌水杓: 물 뜨는 국자)

분(盆: 작은동이, 錫銅瓷는 따라서 쓴다), 건(巾) 1, 안(案) 1개는 높이 2척 7촌 5푼, 너비 2척 3촌, 길이 3척이다.

제물(祭物)은 양(羊) 1, 시(豕) 1, 백(帛) 1(흑색, 길이 장 8척), 화갱(和羹)을 담는다.

변(籩) 4개에는 조(棗)·율(栗)·혜(醯)·고어(藁魚: 乾魚)를 담는다.

두(豆) 4개에는 졸(韭: 졸김치)·혜(醯: 肉醬)·저육(猪肉: 장조림)·청(菁: 무김치)을 담는다.

보(簠) 2개에는 서(黍)·직(稷)을 담는다.

궤(簋) 2개에는 도(稻)·량(梁)을 담는다.

제기(祭期)는 매년 중춘(仲春) 신장상술일(伸狀上戌日)로 한다.

헌관(獻官) 각 포정사(布政司) 및 부주현(府州縣)에서 제사할 때에는 장관(長官) 일원(一員)이 삼헌례(三獻禮)를 행하고 여관(餘官)은 다만 모시고 제사한다. 무관(武官)은 제사에 참여치 못한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문화예술과
  • 담당자 조원기
  • 연락처 031-887-3582
  • 최종수정일 2023.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