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지신밟기
  • 복사
  • 해당 서브 사이트명 qr코드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 접속 할 수있습니다.

지신밟기는 우리나라 전역에서 전승되어온 민속이다. 정초(正初)부터 보름 사이에 농악대가 마을의 가가호호를 방문하며 걸립(乞粒)을 치고, 각 가정에서는 그에 대한 사례로 쌀과 돈을 내놓는다. 이렇게 모인 쌀과 돈은 마을의 공동사업비로 충당되어 왔는데, 정초의 이 행사를 ‘지신(地神)밟기’ 또는 ‘매귀(埋鬼: 매구굿)’라고 한다. 대개 농가의 매귀안택(埋鬼安宅)을 축원하는 의례이다.

기호지방(畿湖地方)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거북놀이에도 집고사 연희과정에 지신밟기의 형태가 나타나고 있으며, 기타 줄다리기 과정에서도 줄을 다리기 전 우물굿·당굿 등에서 이러한 지신밟기의 형태가 나타나고 있다. 여주지역의 지신밟기는 두레패가 활발하게 활동할 때에는 마을마다 이루어졌으나, 해방을 전후하여 쇠퇴하기 시작하여 오늘에 이르러서는 거의 자취를 찾아보기 어렵게 되었다. 다행히 줄다리기나 거북놀이와 같은 민속놀이와 관련하여 그 모습이 전승되고 있으며, 가남읍에서 일부 지신밟기가 전승되고 있음이 보고된 바 있다.

여주에서 전승되어온 지신밟기도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대개 정초부터 보름 사이에 연희되었다. 마을 집집을 돌아다니며 지신을 밟아주는데, 하루 종일 걸려도 서너 집을 돌아다니다 보면 해가 지기 일쑤이기 때문에 정월 한 달을 다 보내는 경우도 있었다. 지신밟기가 정초에 행해지는 이유는 한 해가 시작할 때 액(厄)을 막아야 1년 동안 안과태평을 누릴 수 있다는 민간신앙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여주 지신밟기의 인원 편성은 기(旗)잽이·풍물잽이·어릿광대로 이루어지며, 인근의 평택(平澤)이나 안성(安城) 등지에서 볼 수 있는 무동(舞童)은 보이지 않는다. 평택이나 안성은 예로부터 남사당이나 걸립패에서 무동이 많이 나타나기 때문에 마을의 풍물에도 무동이 편성되지만, 여주의 두레패는 간단한 형태로 나타난다. 여주 지신밟기의 기본적인 인원 편성은 다음과 같다.

  • 농기(農旗)잽이 : 등걸잠방이에 삼색띠를 두르며, 고깔을 쓰고 짚신을 신는다.
  • 영기(令旗)잽이 : 2명으로 등걸잠방이에 삼색띠를 두르며, 고깔을 쓰고 짚신을 신는다.
  • 상쇠 : 부포상을 쓰고 등걸잠방이에 삼색띠를 두르며, 짚신을 신는다.
  • 무쇠 : 상쇠와 같다.
  • 북 : 2명으로 구성되며 등걸잠방이에 삼색띠를 두르며, 고깔을 쓰고 짚신을 신는다.
  • 장고 : 2명이며 북과 복장은 같다.
  • 징 : 북과 같다.
  • 어릿광대 : 양반과 여종, 머슴 등으로 구분되며, 머슴과 여종이 법고를 드는 수도 있다.
  • 태평소 : 바지저고리에 짚신을 신고 머리띠를 두른다.

이러한 편성은 마을마다 약간씩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각 잽이들은 1명씩 편성되기도 한다. 놀이과정도 마을에 따라 약간씩의 차이가 있는데, 대개 ‘길놀이 → 대동 우물굿 → 당굿 → 문굿 → 집안 우물굿 → 마당굿 → 대청굿(고사소리) → 조왕굿 → 터주굿’ 순으로 진행된다. 고사반과 사설은 거북놀이와 같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문화예술과
  • 담당자 조원기
  • 연락처 031-887-3582
  • 최종수정일 2023.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