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가래
  • 복사
  • 해당 서브 사이트명 qr코드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 접속 할 수있습니다.

가래는 논둑을 쌓거나 깎을 때, 물고를 틀 때, 길을 닦는 데 썼으나, 근래에도 주로 무덤의 봉분을 다듬는 데 쓴다. 흔히 허물어진 논둑을 쌓는 일을 가래질이라고 한다. 가래에는 외가래와 쌍가래가 있다. 외가래는 가래채를 한 사람이 잡고 두 사람이 줄을 잡아당기는 것이고, 쌍가래는 두 개의 가래를 서로 연결하여 두 명이 가래채를 잡고 네 사람 또는 여섯 사람이 줄을 잡아당긴다. 가래채는 ‘장치’라고 부르고, 보통 곧고 단단한 낙엽송으로 만든다. 장치를 잡은 사람을 ‘장치꾼’, 줄을 잡아당기는 사람을 ‘줄꾼’이라고 부른다. 가래의 날은 근래에는 삽날처럼 생긴 것을 쓰지만, 조선가래의 날은 따비처럼 U자형 칼날을 씌워서 만들었다.

논둑을 깎거나 쌓는 경우에, 줄꾼은 한 사람은 논둑에 다른 한사람은 논바닥에 선다. 논바닥으로 뻗은 줄을 ‘바닥줄’, 논둑으로 간 줄을 ‘마루줄’이라고 부른다. 짧은 줄인 바닥줄은 잡아당기기만 하면 되지만, 긴 줄인 마루줄은 힘을 조절하면서 당겨야 하기 때문에 가래질을 할 줄 아는 사람이 맡는다. 가래로 논을 갈기도 했으나, 논두렁의 흙이 바위처럼 단단한 곳에서는 가래로 논갈이를 할 수 없다. 가래질은 3명이 한 조가 되어 작업을 하지만 때로는 5명 또는 7명 등 많은 인원을 필요로 한다. 그래서 이웃과 품앗이를 내서 일을 한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문화예술과
  • 담당자 조원기
  • 연락처 031-887-3582
  • 최종수정일 2023.12.21